31조원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의 땅 주인이자 최대주주이면서도 이 사업이 디폴트(부도)될 수 있다고 얘기하기도 한다.
1조원 자본금이 바닥을 드러낸 상황에서 사업 정상화를 위해 외자 유치에 적극나서도 모자랄 판에 스스로 위기감을 조성하더니 급기야 이 사업을 접을수 있다고 하고 있다.
이런 ‘이상한 코레일’의 저변에는 정창영 사장이 있다. 지난해 2월 취임한 이후 그는 “재무적인 문제부터 선결돼야 한다”며 이 사업을 사실상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2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이 쥐고 있는 경영권까지 코레일이 회수해야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는 기존 출자사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용산개발사업 현안을 해결하던 허준영 전 사장의 일처리 방식과 크게 다른 것이다.
그의 튀는 행보는 대외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용산개발 사업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달라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요청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사업이 민간 사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뜬금없는 발상이라는 지적이다. 게다가 국민 혈세로 사업성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코레일이 땅값 지불 유예 등 용산개발 사업 정상화를 위해 통큰 양보를 한 점은 국민들도 인정한다. 리스크 관리로 코레일의 재무적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알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정 사장의 좌충우돌 하는 행보까지 이해할 이는 아무도 없다. 그것이 국민협박용 ‘벼랑끝 전술’이라면 더욱 용서하기 어렵다.
사업을 구할 의지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정 사장이 롯데관광개발 등 주요 출자사들을 직접 만나 신뢰부터 쌓아 나가야한다. 더이상 튀는 행동은 필요없다. 31조원에 이르는 용산개발 사업의 중요성을 절실히 알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