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4조8000억원 수준의 국내 정보보호시장 규모를 2017년까지 10조원대로 두배 확대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5000명규모로 양성하고, 10대 세계일류 정보보호제품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4일 정보보호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아래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보보호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마련, 2017년까지 지원할 방침이라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수요확충과 신시장 창출’, ‘원천핵심기술 경쟁력 강화’, ‘정보보호 전문인력 체계적 양성’, ‘글로벌 정보보호 기업 육성’이라는 4대 추진전략을 세우고 매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요확충과 신시장 창출을 위해 현재 209개의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을 2017년까지 400개로 확대 지정하고,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의무인증 대상을 현재 150개에서 2017년 500개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아울러 사이버 위협 탐지 및 대응시스템 고도화, 개인정보보호 강화 및 정보윤리교육 강화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스마트 자동차·의료·에너지 등 신성장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 분야 정보보호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공공분야 시장을 확대한다.
민간 투자 촉진책도 마련한다. 포털·온라인 쇼핑몰·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한 취약점을 정례적으로 평가·공개해 민간 스스로의 정보보호 투자 역시 촉진할 계획이다.
원천핵심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10대 세계일류 정보보호 제품개발’에 중점을 뒀다.
정부는 매칭펀딩 방식을 통해 산·학·연이 참여하는 공모형태로 신청받아 ‘시큐리티 넘버1 프로젝트 위원회’ 심사를 통해 매년 2~3개 과제를 선정한다. 이 과정을 거쳐 2017년까지 차세대 암호 소프트웨어(SW), 보안전용 운영체제(OS) 임베디드칩, 모바일 보안 SW, 바이오인식, 디지털포렌식 등 다양한 분야 중 글로벌 정보보호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10대 분야 정보보호 제품을 발굴·육성한다.
정보보호 전문인력에 대한 체계적 양성에도 힘을 쏟는다. 정부는 초·중·고 정보보호 관련 프로그램 확대, 세계 최고수준의 해킹방어대회 지원 등을 통해 미래를 주도할 잠재인력을 발굴한다.
이밖에도 미래창조과학부·국방부·고용부·병무청 등이 협력해 진학 지원, 사이버 군복무 지원, 취업 지원 등에 나서 정보보호 인력 3대 고민을 해소 하는 등 성장·발전 기반을 조성한다.
세계시장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글로벌 정보보호 기업 육성에도 주력한다.
성능평가(BMT)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정보보호 제품·서비스 비용이 발주단계부터 분리·반영되도록 표준계약서 등을 마련해 불합리한 발주관행을 개선한다.
이와 함께 중기청 모태펀드, 창조펀드 등에 별도 계정 운영 및 펀딩 투자처를 분류해 정보보호분야에 특화 투자를 지원한다.
미래부 박재문 정보화전략국장은 “사이버세상의 안정적 발전과 진화는 정보보호산업을 동반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면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보안이 골칫거리가 아닌 보안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