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오는 6일 오전 10시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실무회담을 갖기로 4일 합의했다. 개성공단 사태 93일만의 일이며 지난달 12일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된 이후 약 한 달만에 남북협상 테이블이 마련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신중한 모습이다. 회담까지 아직 하루가 남아있는데다 회담이 성사된다해도 입주 기업인들의 방북 승인, 사태 재발 방지에 대한 북측의 확약 등을 얻어낼 수 있을지 아직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번 회담 합의까지 남북 당국의 힘 겨루기는 계속됐다. 개성공단 기계·전자부품 업체들이 설비를 국내외 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강수를 두자 북측은 곧 바로 방북을 허용하며 대응에 나섰다. 입주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북측의 메시지에 우리 정부는 판문점 남북회담으로 답했다. 개성공단 문제를 민간 차원에서 해결하려고 했던 북측의 의도를 역이용한 것.
우리 정부의 제안에 북측은 수용의 의사를 밝혔으나, 남북 당국은 장소 선정 과정에서 서로 각각 두 번씩 장소를 제안할 만큼 이견을 보이기도 했다.
입주 기업인들은 이번 회담에서 정부의 신중하고 융통성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방북 여부도 아직 불투명한 상황인 만큼 다양한 경우의 수를 두고 북측과 대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재권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아직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하는 만큼 정상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섣부르다”고 말을 아꼈다.
섬유·봉제업체를 운영하는 한 입주기업 사장은 “북측은 지금까지의 행동을 덮어버리고 얼렁뚱땅 개성공단 정상화를 추진하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정부는 기업인들의 의견을 반영해 사태 재발 방지 약속을 반드시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정책팀장은 “개성공단의 안정적인 토대를 만드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남북회담에서 이 같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재발방지에 대해서는 개성공업지구법 조항 등에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