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독일 정부가 게임중독법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내 게임 업체에 대해 본사 이전을 위한 러브콜을 잇따라 보내고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메이저 온라인 게임회사들이 본사를 해외로 이전하는 온라인게임 탈코리아가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중국 정부는 최근 상하이 무역지구에 한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외국 게임업체가 독자 서버를 포함한 게임설비를 설치, 서비스하는 기업 설립을 허용하기로 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외국 게임기업이 직접 진출, 게임 서버를 현지에 두고 서비스하는 것을 금지해온 중국 정부가 13년 만에 전격 빗장을 풀며 한국 게임사에 잇따라 러브콜을 보내자 그 배경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상자오룬 중국 문화부 부부장은 지난 15일 한중 문화산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 체결식 후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을 만나 외국기업의 자국 시장 진출에 대한 문턱을 낮추겠다는 뜻을 알려온 것으로 확인됐다.
상자오룬 부부장은 중국측의 높은 비관세 장벽에 대한 한국측의 고충에 대해 “상하이 자유무역구에 한해서 정책의 속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기본 바탕은 개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게임업체가 중국 현지에서 직접 서비스하는 방안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자유무역지구에 △외국자본의 독자적 오락장 운영 △외국자본의 독자적 공연장 설치·운영 △외국자본의 독자적 게임설비 설치와 생산기업 설립 허용 등을 포함, 온라인 게임 외국회사에 직접 서비스를 전면 허용키로 했다.
독일 정부도 한국 게임회사 본사이전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독일 NRW 연방주 경제개발공사는 14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지스타 2013 현장에서 한·독 게임산업 세미나를 열고 “독일 정부는 술과 마약에 집중된 중독, 치유를 지원하지만 게임을 중독물질로 구분하지는 않는다”라면서 “게임 규제가 없는 독일에 온다면 해외진출에 더 유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과거 쇄국정책을 통해 자국의 게임산업을 육성해온 폐쇄정책에서 개방으로 돌아선 것은 중국의 문화콘텐츠 개발력이 궤도에 오른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9년 중국문화산업진흥계획을 통과시킨 뒤, 매년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지난 2011년에는 세제지원까지 약속하며 문화콘텐츠 가치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까지 보였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하루가 멀다하고 규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국내 게임사들이 중국의 이번 조치로 세계 최대 시장 중국시장 진출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자유무역지구에 신규 입주하는 외자기업들에겐 부동산 값의 폭등과 임금 상승으로 인한 원가상승 요인이 존재하기에 이 모든 것을 감안하면서까지 진출할지는 국내 게임중독법 규제상황에 맞춰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