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의 59.1%가 차기 한은 총재가 주안점을 둬야 할 통화정책 방향으로 ‘경제성장률 제고’를 제시했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민간·국책연구소, 학계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미 양적완화 축소와 경제정책 방향’ 설문조사 결과를 밝혔다. 조사 내용으로는 △차기 한은총재의 역할 △상반기 기준금리 정책 방향 △美양적완화 종료시점 전망 △대내외 경제정책 방향 등이다.
먼저 차기 한은 총재가 주안점을 둬야 할 통화정책 방향 1위로 ‘경제성장률 제고’(59.1%)가 꼽혔다. 이어 전통적인 중앙은행 역할인 ‘물가안정’(31.8%), ‘외환부문 안정을 위한 국제공조 강화’(9.1%)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 응답자의 62.5%는 올해 상반기 중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고, 상반기 중 인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 12.5%는 인상 주장을 보였다.
미국 양적완화 종료 시점과 관련, 응답자의 48.5%는 올해 하반기로 예상했다. 미국 고용지표의 개선이나 실물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미국 경기 회복세가 약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종료시점을 2015년 상반기(39.4%)로 전망했다.
경제전문가 4명 중 3명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나 그 여파로 나타난 신흥국발 경제 불안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75.8%)인데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 이유는 경상수지 흑자 구조와 외환보유비율 등 ‘신흥국과의 차별성’(96%)을 꼽았다. 반면,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24.2%)으로 보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신흥국 수출감소(62.5%), 환율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25%) 등을 들었다.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대외불안 해소를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사안으로 지난 2월 한-호주 간 5조원 상당의 통화스왑 계약 체결처럼 ‘원화가치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36.4%)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뒤이어 내수 위주 산업구조로의 신속한 전환(30.3%),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 방지 노력(21.2%), 신흥시장 수출확대 노력(12.1%) 순으로 답했다.
김용옥 전경련 경제정책팀장은 “대외적으로 미국, EU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세가 중국의 저성장 기조나 신흥국발 경제 불안과 혼재된 상황”이라며 “이런 불확실한 대외경제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