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곳의 발표를 합하면 당시 시간 대에 시신 6구가 수습됐다. 그러나 사실은 중복집계였다. 30여분 뒤 사고대책본부는 수습된 시신을 6구에서 3구로 정정했다. 발표 내용이 혼선을 일으키면서 실종자 가족의 가슴을 또 한 번 철렁이게 한 것이다.
◇숫자 파악도 못하는 정부, 실종가 가족 답답= 정부 당국이 세월호 침몰 이후 탑승·구조·실종·사망자의 숫자를 바꾼 것은 현재까지 10여 차례에 달한다.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에는 최초 477명이 탑승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오후 들어 459명, 462명, 475명으로 정정하며 하루에 세 차례나 바꿨다. 구조자 수는 전원구조에서 368명으로 바뀌었다가 금세 164명으로 변경됐다.
17일에는 구조자를 174명, 175명, 176명으로 번복한 뒤 179명으로 다시 바꾸며 혼선을 극대화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이날 전화번호를 건넨 문모씨의 딸도 실종 상태인데 구조자 명단에 들어있었다. 문씨는 “아이를 찾으러 진도의 하수구까지 뒤졌다”고 말해 주변의 안타까움을 샀다.
이후 18일에는 탑승자 수를 475명에서 476명으로, 구조자 수는 179명에서 174명으로 수정했다.
특히 정부 당국의 18일 수정은 한 네티즌이 구조자 명단 중에 이름이 중복된 구조자가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됐다. 정부의 수 많은 인력이 네티즌 한 명의 문제 제기도 따라가지 못한 수준이었던 셈이다.
◇구조상황 전달 시시각각 바뀌어= 안전행정부 산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구조 상황을 실종자 가족에게 전달하는데 있어서도 혼선을 빚었다.
사건 당일인 16일에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전원 구조’라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했다. 하지만 이후에 290여명이 넘는 탑승자의 실종 상태라고 말을 뒤바꿨다.
잠수부의 선채 진입 시도 상황 전달도 실종자 가족들의 애를 태웠다. 18일 오전 사고대책본부는 “선내 식당까지 진입했다”고 밝혔다. 진도체육관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의 희망이 커지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오후 1시경 해경은 “식당 진입은 사실이 아니고 공기주입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을 뒤집었다. 혼선이 거듭되자 정부는 18일 브리핑 창구를 해경으로 단일화했다.
◇무능한 중대본, 뒤바뀌는 콘트롤타워가 혼선 원인= 정부 당국이 초기 대응에 무능력했던 것은 중앙 콘트롤타워의 주체가 자주 바뀌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정부는 사고 당일인 16일에는 중대본을 콘트롤타워로 삼았다. 그러나 17일에는 정홍원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 사고대책본부를 꾸려, 중대본의 존재를 정부 스스로 유명무실화했다. 이는 법으로 만들어 놓은 범정부 재난대응체계를 무력화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중대본은 현재 현장의 인명 피해와 구조, 수색 상황을 전달받으며 ‘식물본부’ 역할에 그치고 있다.
정부 당국이 콘트롤타워에 혼선을 빚는 과정에서 민·관·군이 구조 손발을 제대로 맞추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민간잠수부의 수색 참여를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경은 “민간잠수부가 사고 수색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경력 요건 등의 최소한의 확인이 필요했다”며 “이러한 과정을 거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고대책본부가 꾸려진 뒤에도 제대로 된 콘트롤타워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는 나오지 않고 있다.
본부가 꾸려진 뒤에도 탑승자 수는 번복되고 있다. 20일 현재 최종 집계된 세월호 탑승자 476명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전히 사망자의 신원이 모두 파악되지 않았다. 실종자와 사망자의 명단이 일치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해운업계의 한 관계자는 “무임 승차한 인원이 있거나 선사가 탑승자 명단을 정확히 작성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