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권 고용부 장관, “가계소득 증대 위해 비정규직 차별개선에 역량 집중”

입력 2014-07-22 16: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취임 후 첫 고용률 70% 점검회의 주재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뉴시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하반기 경제정책의 중점 추진방향도 가계소득 증대를 위한 비정규직 차별개선에 방점을 두고 있다”며 “이들의 근로조건과 차별개선에 역량을 모아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22일 세종청사에서 취임 후 처음 열린 ‘주요 노사관계 및 고용률 70% 로드맵 확대점검회의’에서 일자리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건설일용·가사사용인·간병인 등 저소득·저숙련 취약계층과 택배·대리기사 등 특수형태근로자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을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그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본격적인 고민을 시작할 때”라고 말했다.

8개 지방고용노동(지)청장들이 참석한 이번 회의에서는 △지방청별 노사관계 및 임단협 진행 상황 △상반기 고용 동향 및 로드맵 핵심 과제 추진상황 △‘지역별 고용률 70% 추진단’ 추진상황 및 향후 실행계획 등을 점검・논의했다.

이 장관은 고용률 동향에 대해서 “최근 고용 증가세가 주춤하면서 상반기 고용률이 목표 대비 0.1%p 하회 했다”며 “하반기에는 기저효과가 축소되고 경제상황도 낙관하기 어려우므로 일・학습병행제, 시간선택제 등 로드맵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차질 없는 이행”을 강조했다.

실제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는 59만7000명 증가해 2002년 상반기 이후 최고치를 달성했지만 고용률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1%p 증가해 목표인 1.2%p 증가에는 다소 못 미쳤다.

이에 고용부는 고용률 목표 달성을 위해 하반기에는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확산을 위한 적합직무・업종 발굴에 주력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인건비 지원도 확대 할 예정이다.

또 일·학습 병행제 참여기업 확대와 함께 선도 모델 육성 등 내실화에 주력 할 방침이다.

한편 각 지방노동관서장도 ‘지역별 고용률 70% 추진단’을 통해 지역별・산업별 특성에 맞는 고용대책을 마련하여 역점 추진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80,000
    • -0.49%
    • 이더리움
    • 2,306,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495,500
    • +1.39%
    • 리플
    • 3,003
    • +0.03%
    • 솔라나
    • 193,900
    • -0.56%
    • 에이다
    • 908
    • +1%
    • 이오스
    • 908
    • -0.22%
    • 트론
    • 349
    • -3.06%
    • 스텔라루멘
    • 3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20
    • +1.8%
    • 체인링크
    • 18,240
    • +0.27%
    • 샌드박스
    • 376
    • +4.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