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ㆍ24슈퍼부양책] 4개 민자고속도로 사업에 2873억원 보상자금 선투입

입력 2014-07-24 13: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후속조치…보상자금 선투입제도 도입 후 첫 사례

구리∼포천고속도로 등 4개 민자고속도로 사업에 대해 민간사업자가 정부를 대신해 토지보상자금을 우선 지급한다. 토지보상비 지급이 늦어져 사업이 지연되고 보상비의 과다증가로 재정부담이 커지는 사례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는 24일 구리~포천, 상주~영천, 안양~성남, 광주~원주 등 4개 민자 고속도로사업의 보상금 선투입규모를 2873억원으로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새 경제팀의 하반기 정책방향 중 ‘내수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다. 보상자금 액수는 구리∼포천고속도로가 2000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상주∼영천 고속도로(421억원)와 언양∼성남 고속도로(282억원), 광주∼원주 고속도로(170억원) 순이다.

이에 따라 민간사업자는 8월부터 국토교통부와 확인서를 체결하고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거치면 토지보상에 필요한 자금을 금융기관에서 조달할 수 있게 된다. 조달된 보상금은 도로공사와 한국감정원 등을 통해 토지 소유자들에게 지급되고 추후 정부에서 이자와 기금 보증수수료 등 자금조달비용과 원금을 지급받는다.

‘보상자금 선투입 제도’는 지난 5월 민간투자법 시행령 및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에 반영됐으며 사업별로 시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상자금 선투입 제도 도입 전에는 민간사업자가 정부로부터 연도별로 지급받은 토지보상예산의 범위에서만 보상하고 공사에 착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선투입 제도 덕분에 토지보상예산이 없어도 민간사업자가 자체적으로 보상금을 마련해 투입할 수 있어 공사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적기에 준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토지 소유주는 적기에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정부로서도 보상이 늦어져 보상비가 늘어나는 사태를 막아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 보상부지에 대한 투기를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건설공사비 조기투입으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00,000
    • -0.4%
    • 이더리움
    • 2,301,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485,700
    • +0.85%
    • 리플
    • 2,989
    • -0.2%
    • 솔라나
    • 193,600
    • -0.56%
    • 에이다
    • 905
    • +1.23%
    • 이오스
    • 900
    • +0%
    • 트론
    • 348
    • -3.06%
    • 스텔라루멘
    • 348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50
    • +1.06%
    • 체인링크
    • 18,160
    • +0.06%
    • 샌드박스
    • 376
    • +4.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