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기업 유보율 대기업 부럽지 않네

입력 2014-07-29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메가스터디 1만2257%로 최고…3000% 이상 기업 44곳

정부가 사내유보금에 과세 방침을 밝힌 가운데 대기업 못지않게 유보금을 많이 쌓아놓은 코스닥 기업들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이 같은 유보금이 무상증자나 배당재원으로 활용될 경우 코스닥시장도 체질 변화가 기대된다.

29일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관리종목을 제외하고 3월말 기준으로 유보율이 가장 높은 곳은 메가스터디로 무려 1만2257%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와 비슷한 규모다.

스마트폰 케이스를 만드는 인탑스가 8273%로 뒤를 이었으며 다음은 8118%를 기록했다. OCI머티리얼즈, 게임빌, 에스에프에이, 매일유업 등이 5000%대로 나타났다. 이 중 매일유업을 제외하고는 모두 IT업체다.

이어 동화기업(4996%), 원익머트리얼즈(4976%), 선광(4833%), 솔브레인(4753%) 등이 4000%대 유보율을 기록했다. 코스닥 기업은 유보율 3000% 이상인 곳이 44곳에 달했다.

이 같은 추세로 볼 때 코스닥 기업에 대한 유보금에도 과세가 매겨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배당과 주주환원 정책이 부재한 게 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시장을 외면하는 이유 중 하나”라며 “코스닥 기업에도 과세를 하게 되면 증시도 살리고 가계소득도 늘릴 수 있는 일석이조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근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꺼내든 ‘사내유보금에 대한 과세 방침’과 관련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유보율 800%가 넘으면 무상증자나 배당을 늘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최근에는 이익잉여금을 사내에 쌓아두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며 “사내유보금에 대한 과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배당 확대나 무상증자 등이 이뤄져 증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보율 = 영업활동 등을 통해 벌어들인 잉여금이 자본금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유보율이 높은 것은 이익을 많이 내 재무구조가 안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향후 성장을 위한 투자나 투자자에 대한 배당을 하지 않고 현금을 쌓아두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71,000
    • +0.13%
    • 이더리움
    • 2,588,000
    • +0.58%
    • 비트코인 캐시
    • 527,500
    • +4.04%
    • 리플
    • 3,258
    • -1.39%
    • 솔라나
    • 211,500
    • -0.28%
    • 에이다
    • 1,006
    • -0.2%
    • 이오스
    • 989
    • -1.88%
    • 트론
    • 354
    • -0.84%
    • 스텔라루멘
    • 399
    • -1.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00
    • -3.14%
    • 체인링크
    • 21,120
    • -1.17%
    • 샌드박스
    • 426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