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 이혁진 교수팀, 항암유전자 치료제 대량생산 기술 개발

입력 2014-10-06 13: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화여자대학교는 약학과 이혁진 교수 연구팀이 항암 유전자 치료제의 대량생산 연구를 진행해 침묵유전자 전달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글로벌개방혁신연구센터(GiRC) 사업 및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결과는 화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케미컬 커뮤니케이션(Chemical Communications) 10월호 표지 논문으로 지난 2일 게재됐다.

개발된 유전자 치료용 나노입자는 생체재료인 핵산(DNA 및 RNA)으로 만들어져 신체에 무해하고, 세포독성의 위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회전환 증폭(rolling circle amplification)에 의한 핵산 나노입자 대량 제조방법이 개발됨으로써 고가의 기존 합성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유전자 치료제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계획된 삼차원 핵산 나노입자를 제조, 다양한 암세포 표적 리간드(ligand)를 나노입자 표면에 도입, 암 조직 및 세포 내부로의 나노입자 전달 수율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전달된 핵산 나노입자는 유전자 침묵효과(RNAi) 를 유도, 원하는 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표적mRNA와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현재 개발된 효소를 이용한 핵산 나노입자 제작방법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자기조립 핵산 나노입자의 상용화를 통해 암 질병 및 희귀 유전자 질병, 바이러스 및 감염성 질병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혁진 교수팀은 본 연구와 관련해 2012년 국제특허(PCT)를 확보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핵산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방법을 개발, 이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 또한 추진 중이다.

이혁진 교수는 “효소반응을 기반으로 한 항암 유전자 치료제의 대량 생산이 전세계적으로도 성공한 사례가 없다”며 “유전자 치료제의 대량생산 가능성이 열리면서 환자들이 보다 손쉽게 치료제를 구입할 수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페인, 잉글랜드 꺾고 '4번째 유로 정상'…MVP는 로드리·신인왕 야말 [유로 2024]
  • 2024 초복 인기 메뉴는 단연 치킨…복날 맞이 치킨 가격 순위 50 [그래픽 스토리]
  • 정부 규제에 배달 수수료·최저임금 ‘쑥’…셔터 내리는 프랜차이즈 [K프랜차이즈 갈등의 골]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FBI “트럼프 총격범, 단독범행…정신병력 없다”
  • 변우석 측, '과잉경호' 논란에 사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어…도의적 책임 통감"
  • 5대銀, 상반기 부실채권 3.2조 털어내…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고 수준
  • 사법리스크 ‘최고조’ 달한 카카오…주가 시나리오 따져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14: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052,000
    • +4.4%
    • 이더리움
    • 4,676,000
    • +4.19%
    • 비트코인 캐시
    • 546,500
    • +1.39%
    • 리플
    • 745
    • +2.34%
    • 솔라나
    • 212,800
    • +4.47%
    • 에이다
    • 611
    • +1.16%
    • 이오스
    • 812
    • +5.18%
    • 트론
    • 194
    • -0.51%
    • 스텔라루멘
    • 146
    • +3.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4.96%
    • 체인링크
    • 19,220
    • +4.68%
    • 샌드박스
    • 460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