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감]정종환 전 장관 “4대강, 꼭 해야 할 사업했다”

입력 2014-10-13 1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사업을 총 지휘했던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은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4대 강 사업은) 국가 꼭 해야 할 사업 했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4대강 사업 당시 국토부가 건설업체 담합 정황을 포착했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보고서’ 발표도 부인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야당의 강력한 지적에 “(4대강 사업과 관련해)책임져야 될 일이 있다면 책임지겠다”면서도 새정치민주연합 김상희 의원이 “책임질 일이 많다는 건 알고 있느냐”고 묻자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이 “(수자원공사가 4대 강 사업에 참여한 것은) 수공에 4대 강 투자비를 떠넘긴 위장술이고 편법”이라고 비판하자 정 전 장관은 “그렇지 않다”고 맞섰다.

또 같은 당 이미경 의원이 수공의 4대 강 사업 부채 상환을 위해 추진한 ‘친수구역 사업’이 사실상 사업성 부족으로 전면 중단됐다고 지적하자 “부동산 경기가 어려워서 문제가 있는 것뿐이지 일부는 진행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정 전 장관은 4대 강 사업 당시 국토부가 건설업체들의 담합 정황을 포착하고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보고서 내용도 부인했다. 이와 관련해 “그런 일(보고)이 없었다”면서도 “담합과 관련해 보고가 됐다면 통상적으로 대형 공사에 담합 가능성이 높아서 뭘 하겠다는 것이지, 담합 징후가 있어서 그랬다는 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11∼2103년 동안 여러 숫자들이 (4대 강 사업이) 홍수 피해를 얼마나 저감시켰는지 입증하고 있다”며 “필요하다면 자료를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함께 증인으로 나온 김건호 전 수공 사장은 4대 강 사업 참여로 생길 수공의 부채 문제에 대해 청와대와 국토부로부터 향후 재정 지원을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 전 사장은 “청와대와 국토부에서 향후 재정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느냐”는 이미경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 그게 국가정책조정회의 결과”며 “(당시) 지원하겠다고 돼 있다”고 답했다.

김 전 사장은 수공의 4대 강 사업 참여 전 법적 문제나 투자비 회수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가 많았으나 나중에 보전해주기로 해 이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개…도요타 아성에 ‘도전장’
  • 나랏빚 빨간불...추경 편성으로 '적자성 채무' 900조 육박
  • 이재명, 영남서 대세 굳히나…김경수·김동연 반전 도전
  • 금리 인하기 리츠 리파이낸싱 ‘탄력’…자산 편입 기대감도
  • ‘불닭 신화’ 이룬 삼양식품…임직원 근속은 뒷걸음질[유통업 지속가능 보고서⑦]
  • 1년 200만 번 테스트…LG U+ 대전 R&D센터 [가보니]
  • 토허제 후폭풍에 증시 혼란까지…주담대·신용대출 다 늘었다
  • '그알' 아산 마약 음료 사망 사건, 전 남자친구가 범인?…"죽은 사람은 말이 없어" 증거인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84,000
    • +0.31%
    • 이더리움
    • 2,326,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489,000
    • +0.1%
    • 리플
    • 3,008
    • +0.03%
    • 솔라나
    • 203,100
    • +1.45%
    • 에이다
    • 910
    • -0.33%
    • 이오스
    • 923
    • +1.21%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356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0.1%
    • 체인링크
    • 18,790
    • +2.06%
    • 샌드박스
    • 385
    • -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