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에 근무하면서 외부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 겸직금지 규정을 어긴 과학 유튜버 궤도가 결국 퇴사했다. 최근 감사원 결과에서 궤도가 공공 기관 겸직 규정을 어기고 영리 활동을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5일 궤도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안될과학’을 통해 “저의 직장 내 겸직 규정 위반으로 인해 실망을 안겨드린
“인력풀이 부족한 상황에서 심사숙고해 후보군을 추리고 수차례 부탁해 어렵게 선임한다. 임기를 제한하는 데다 민감한 개인 정보까지 공고하도록 해 신규 선임은 물론 임기가 남은 사외이사의 연임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 당국이 법으로 사외이사의 임기를 제한하겠다고 나서면서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상장사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주총을 불과 두 달가
지난해 은행을 포함한 기업의 금융규정 위반 관련 과태료 부과액이 62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년 만에 6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5일 국회 정무위 정우택 위원장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과태료 부과·수납현황’에 따르면 은행 및 기업들의 금융 관련 편법·불법에 의한 과태료 부과액은 2010년 10억3200만원에서 2014년 62억220
참여연대는 29일 청와대가 시행하고 있는 국회의원 정무특보 제도를 겨냥해 ‘삼권분립 정신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회법 개정안이 시행령 수정권한을 강화해 삼권분립 원칙에 어긋난다고 주장하던 청와대는 뜻밖의 지적을 받은 셈이다.
이날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현직 국회의원의 정무특보 겸직 금지 결정할 것을 요청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