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의 아스콘이 녹아내리는 불볕더위도 한결 누그러졌다. 폭우로 곳곳에 생긴 수해의 흔적만 남긴 채 여름은 물러간다. 더위에 지쳐 종일 잠이나 자던 반려동물들은 생기를 되찾고, 빗물 스민 벽지는 얼룩진 채 들뜨고 음습한 데에서는 곰팡이가 자라난다. 폭염 속에서 나는 기후변화가 초래할 위기 걱정을 떨치지 못했다. 우리에게 아직 시간이 있을까? 기후 변화에
브라질서 저체온증에 소 3000마리 집단 폐사몽골선 기온 상승에 가축 약 50만 마리 죽어영국 Z세대 43% “올해 육식 안 할 것”미국, 줄기세포 배양 닭고기 시중 판매 첫 승인높은 가격, 대량 생산 어려움 등 과제로 남아
기후변화가 글로벌 축산업을 뒤흔들고 있다. 가축들은 춥거나 덥다는 이유로 죽어가고 있고 업계는 대안으로 대체육이나 배양육에 관심을 두
아마존, 홀푸즈 통해 닭 사육환경 개선 지원치포틀레멕시칸그릴 등 200개사 이상 동참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뿔 없는 송아지, 거세 필요 없는 수컷 돼지 연구식물성 대체육 연구도 활발
동물복지 향상에 동참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사육환경 인증 기준을 까다롭게 만들고, 이를 통과한 가축만 사용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첨단 유전공학도 동물복지 향상에 기여할
최근 환경문제를 다룬 책들이 내세우는 단어들 가운데 ‘채식’을 빼놓을 수 없다. 채식이 환경문제와 연결되는 이유는 바로 ‘공장식 축산’ 때문이다.
공장식 축산은 가격 경쟁력을 위해 가축을 좁은 장소에 모아 기르는 비윤리적 축산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 감염균 확산, 산불 등으로 인해 환경이 파괴될 위험성이 있다. 달리 말하면 과도한 육식주의
“다 따라와. 고기 먹게.” 라이벌인 강력반 회식에 끼워주겠다는 제안에 자존심으로 주춤하던 마약반 형사들이, “소고기야”라는 한마디에 바로 따라붙는다. 한 코미디 영화에서 초반에 ‘빵 터지는’ 장면이다. 이 영화는 범죄 수사로 이야기를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이런 맛은 없었다’는 통닭이 더 인기를 얻었다. 우리의 일상이 공감을 얻은 셈이다.
광주의 초등학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을 모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크라우드 펀딩(Cloud funding).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크라우드 펀딩은 가장 최신의 소비·문화 트렌드를 잘 보여줍니다. 현재 주목받고 있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고자 합니다.
국내 채식인구는 약 150만 명이다. 지난달 17일 한국채식연합이
오코노미는 넷플릭스와 왓챠 등 OTT(Over The Top) 서비스에 있는 콘텐츠를 통해 경제를 바라보는 코너입니다. 영화, 드라마, TV 쇼 등 여러 장르의 트렌디한 콘텐츠를 보며 어려운 경제를 재미있게 풀어내겠습니다.
황폐해진 대지와 썩은 바다. 부해(腐海)라는 독성 물질이 마구 떠다니는 1000년 후 지구. 부해를 내뿜는 곰팡이 숲은 점
2018년은 그 어느 때보다 시끌벅적했던 한해였다. 대외적으로는 역사적인 남북해빙 무드가 본격 진전되는 한편, 사회적으로는 성별 갈등이 급격하게 표출됐던 시기였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바라며, 일보다는 개인의 삶을 중요시하고, 여럿보다는 혼자하는 것을 선호하는 '마음속의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컷던 한해이기도 했다.
올 한
예능프로그램 ‘식량일기’가 첫 방송 이후 동물권단체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있다.
지난달 31일 tvN ‘식량일기’가 첫 방송됐다. 식량일기는 ‘내가 먹는 이 음식은 어떤 과정을 통해 식탁에 오를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해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을 보여준다는 취지로 제작됐다.
첫 방송에서는 닭볶음탕에 들어가는 식재료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 달걀
[카드뉴스 팡팡] 옥자와 살충제 계란, ‘공장’의 비극
‘옥자’영화 속 상상의 산물이긴 하지만, 순전히 인간의 식량용으로 만들어진 슈퍼 돼지입니다. 옥자와 같은 돼지들이 사는 곳은 공장이나 다름없습니다. 강제로 교미하고 살을 찌우다 도살당하는 돼지들의 울음소리만 가득한 곳이죠.
‘살충제 계란’현실 속 인간의 귀중한 식량원 중
이낙연 국무총리는 20일 '살충제 계란' 파동 대응과 관련해 "정부의 잘못된 발표로 선의의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한 손해를 갚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열린 총리실 간부회의에서 계란 살충제 대응 상황에 대해 보고를 받고 종합점검한 후 "이번 파동은 결코 미봉될 수 없으며, 국민이 안심하도록 완전하게 수습해야 한다"며 이같이 지시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17일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감사에서 산란계 농장 살균제 법적 시스템이 전무하다는 지적과 제도 개선 요구가 있었지만, 박근혜 정부는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차대한 문제임에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살충제 달걀 문제로 많은 국민이 불안을 느끼고 있고, 농
푸른 초원에서 닭이 뛰노는 사진과 함께 '방사', '자연주의' 등 표시가 된 고가의 달걀 상품 상당수가 사실은 공장식 축산에 의해 생산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 녹색당,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변호사들 등 3개 단체는 지난 1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와 CJ제일제당을 공정거래위원회에
국제동물보호단체 페타(PETA)가 11일 공식 페이스북에 젖소의 공장식 축산을 고발하는 충격적인 사진을 올렸다. 페타는 "젖소도 다른 포유동물과 마찬가지로 임신과 출산을 해야 젖이 나온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문구와 함께 젖소의 상황을 사람이 연출한 사진을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