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도 도쿄대 이과대학 부속식물원(코이시카와 식물원)과 아라사와 강변 그쯤 어딘가. 일본의 가장 오래된 왕벚나무와 뉴턴의 사과나무 등으로 학생 뿐 아니라 외부 관광객들도 종종 찾는 이 곳은 알고보면 한국인에게 가장 가슴 아픈 곳 중 하나다. 관동대지진(1923년 9월 1일) 당시 조선인들이 학살된 바로 그 현장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이곳에서 만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배우 김남길 주연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도적: 칼의 소리’(이하 ‘도적’) 의미를 짚었다.
서 교수는 10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최근 김남길이 출연하는 넷플릭스 시리즈 ‘도적’을 시청했다”며 “‘도적’은 1920년 중국의 땅, 일본의 돈, 조선의 사람이 모여든 무법천지의 땅 간도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나는 XXX로소이다. 높은 양반의 가랑이에서 뜨거운 것이 쏟아져 내가 목욕을 할 때 나도 그의 다리에다 뜨거운 줄기를 뿜어대는 나는 XXX로소이다.'
1922년 일본 유학생들이 펴낸 잡지 '조선청년'에 22세 박열이 기고한 시다. 비록 양반의 가랑이 아래서 오줌을 맞을 수밖에 없는 보잘것없는 존재이지만, 양반의 다리에 똑같이 오줌을 갈길 수 있는 패기
영화 '박열'이 개봉 6일째에도 박스오피스 1위를 질주했다.
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3일 '박열'은 일일 관객수 11만3320명, 누적 관객수 129만3726명을 동원했다.
2위를 차지한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는 일일 관객수 3만1439명, 누적 관객수 244만9290명을 동원해 250만 관객수 돌파를 목전에 뒀다
영화 '박열'에 이제훈이 주연을 맡아 이목이 쏠린 가운데 실제로 연기한 독립운동가 박열에 대한 관심도 높다.
영화 '왕의 남자', '사도' 등으로 흥행에 성공한 이준익 감독의 새 영화 '박열'이 6월말 개봉을 확정지었다. 배우 이제훈이 영화 '박열'의 주인공 박열 역을 맡아 열연한다.
영화 '박열'은 1923년 관동 대지진을 틈타 무고한 조선인 600
관동(關東·간토)대학살 피해자 중 318명의 명단이 최초 공개됐다.
2일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6월 도쿄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발견된 '일정시 과거사 명부' 중 관동대학살 당시 학살된 조선인의 이름, 주소, 피살 당시 상황을 담은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를 정리해 정보공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진재는 1923년 9월 1일 도쿄와 요코하마 등 일본
관동대학살 명부
관동대학살 명부가 최초 공개됐다.
19일 정부는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지방에 일어난 대지진 당시 일본인에 의해 학살된 한국인 명단을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날 확인된 관동대지진 학살자는 모두 290명으로, 명부에는 관동대지진 희생자의 이름 뿐 아니라 본적과 나이, 피살 일시, 상황 등이 자세이 적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