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만으로도 군침이 도는 음식이 있다. 기분이 우울할 때 그 음식을 떠올리면 푸근해진다. 마음에 안정을 주니 ‘위로의 음식’이다. 코끝 찡한 기억에 빠져들게 하니 ‘추억의 음식’이다.
찬바람이 부는 이맘때면 ‘아버지표 양미리 구이’가 그립다. 연탄불에 잘 구워진 양미리는 비린내가 나지 않아 참 고소하다. 아버지는 “머리부터 꼬리까지 뼈째 꼭꼭 씹어 먹으면
목은 이색이 그리워한 맛
공자께서는 “군자는 도를 추구하지 먹을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君子謀道不謀食, ‘논어’]라고 하셨지만, 군자도 맛있는 것 앞에는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다.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외가에서 태어난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은 ‘잔생(殘生)’이란 시에서 “얼마 남지 않은 인생 입과 배만 생각하니[殘生唯口腹
“이 책을 이리 눈이 어두운 데 간신히 썼으니 이 뜻 잘 알아 이대로 시행하고, 딸자식들은 이 책을 베껴가되 가져갈 생각 말며, 부디 상하지 말게 간수해 쉬 떨어버리지 말라.”
이 글은 안동 장씨(安東張氏, 1598~1680)가 남긴 당부의 말로 ‘음식디미방’ 끝부분에 나온다. 장씨가 ‘음식디미방’을 지은 시기는 일흔셋 무렵이었다. 노년에 완성한 요리책이
TV화면이 먹방(먹는 방송), 쿡방(요리하는 방송)으로 넘쳐나고 있다. 이투데이 배국남 대중문화 전문기자에 의하면 “먹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와 먹는 것을 통한 작은 사치,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식구의 정을 충족시키는 것 때문에 먹방과 쿡방은 2015년 상반기 두드러진 예능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시청자들은 입맛을 다시며 먹는 방송을 즐긴다. 그야말
모과나무의 종소명 시넨시스(sinensis)는 중국이 원산지임을 나타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열매를 약제로 사용했다. 모과나무가 우리나라에서 과수로 식재된 기록으로는 조선시대 광해조 때 허균이 쓴 ‘도문대작(屠門大嚼)’에 예천에서 생산되는 맛있고 배같이 즙을 많은 과일로 소개돼 있다. 당시의 모과는 맛있는 과일로 소개되고 있지만 사실 모과는 과일
※ 자세한 내용은 고품격 시니어 전문 미디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www.bravo-mylife.co.kr) 사이트와 모바일웹(m.bravo-mylife.co.kr), 블로그(http://blog.bravo-mylife.co.kr) 등에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나물국 오래 먹어 맛을 못 느껴. 두부가 새로운 맛을 돋우어 주네. 이 없는 이,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이 조선 최초의 요리칼럼서 ‘도문대작(屠門大嚼)’을 썼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타고난 미식가였던 허균은 전국을 다니며 강릉의 방풍죽 등 자신이 맛봤던 향토음식들을 특유의 재치와 버무려 ‘도문대작’에 남겼다.
향토음식은 그 지역에서 내려오는 대표적 음식이자 지역주민들이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식문화의 산물, 그리고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