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국힘·3지대·조국 등 매달 민심 출렁…비방전은 여전여야 공보물에 빠진 대통령·野수장…비호감도 의식한 듯
22대 총선의 특징은 선거 종반 양대 진영 총결집 직전까지 지속된 선거 구도·민심 등 풍향 변화다. 중도층 이탈 등 부정 여론을 의식한 여야 후보들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진을 공보물에 적극 활용하지 않은 점도 이전 선거와
‘김남국 사태’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됐다. 여야는 김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 이후 국회의원·공직자의 가상자산 재산공개를 의무화하는 법안 처리에 합의를 이뤘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민심의 기류는 다르다. ‘김남국 사태’로 갈림길에 선 여야는 여러 변수에 따라 다른 국면을 맞이할 전망이다.
24일 공개된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 여론조사에서 국민의
이낙연-황교안 빅매치 주목
30일 앞으로 다가온 4·15 총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새 선거제도 등으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흐름이다. 이런 가운데 여야가 각각 내세우는 ‘정권심판론’과 ‘야당 심판론’, 새 선거제도 도입에 따른 ‘비례정당’ 등이 승부를 가를 주요 지점으로 꼽힌다. 차기 대권을 보고 있는 잠룡들의 승부도 빼
자유한국당의 비례대표용 위성 정당인 '비례자유한국당 창당준비위원회'는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비례○○당' 명칭 사용 불허 결정에 대해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창준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선관위의 이러한 결정은 '비례자유한국당'이라는 당명 선택을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헌법에 보장된 정당 설립의 자유, 특히 정당 명칭 선택권
자유한국당은 4·15 총선부터 선거연령이 18세로 하향되는 것과 관련해 가칭 '교내 선거운동 방지법'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박영수 사무총장을 국회 원내대표실로 불러 이같은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통과된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와 함께 선거연령도 18세로 낮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3일 정당 명칭으로 '비례○○당'을 사용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
이날 회의에는 권순일 위원장을 비롯해 8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위원들은 표결 끝에 다수결로 이날 불허 결정을 내렸다. 선관위는 찬반 숫자는 밝히지 않았다.
선관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한 후 보도자료를 통해 "'비례○○당'은 이미 등록된 정당의 명칭과 뚜렷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3일 정당 명칭으로 ‘비례○○당’을 사용할 수 없다고 결론 내리면서 자유한국당이 추진 중인 위성 정당 ‘비례자유한국당’의 활동에 제동이 걸렸다.
선관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한 후 보도자료를 통해 “‘비례○○당’은 이미 등록된 정당의 명칭과 뚜렷이 구별되지 않아 정당법 제41조(유사명칭 등의 사용금지) 제3항에 위반되므로 그
국민 10명 중 6명가량은 기존 정당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보다 많이 확보할 목적으로 비례정당을 추가로 창당하는 데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 27일 CBS 의뢰로 비례정당 창당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반대 응답이 61.6%로 찬성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자유한국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대비해 ‘비례대표정당’ 창당을 공식화한 것에 대해 여당의 고심이 깊어졌다. 전날 민주당 내부에서는 ‘민주비례당을 만들지 않으면 한국당이 거의 반 쓸어간다’는 문자 메시지가 돌면서 위기감이 급습했다. ‘비례민주당’이 없다는 전제하에 ‘비례한국당’이 만들어질 경우 비례한국당은 30석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