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현지시간) 찾은 오스트리아 빈 인근의 세계 최대 시멘트 기업 홀심의 매너스도프 시멘트 공장 한편에는 대체연료로 사용할 거대한 자원 보관소가 자리 잡고 있다. 1500㎡씩 3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총 4500㎡의 공간에 900톤(t)의 자원 보관이 가능한 이 공간은 매너스도프 공장의 탄소배출을 크게 줄이는 핵심 시설이다.
보관소에는 트럭이 쉼
유럽에서 순환자원이 시멘트 산업에 활용된 역사는 30년을 훌쩍 넘는다. 독일은 1970년대 오일 파동 이후 석탄을 주요 연료로 사용했고, 1990년대부터 순환자원에 눈을 떴다. 아일랜드 시멘트 제조 기업 브리든은 2006년부터 대체연료를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유럽 국가들은 지역주민과 적잖은 마찰을 빚었다. 현재 국내에서 벌어지는 순환자원 성분 및
“재활용 용지로 만든 내 명함이 쓰레기인가, 재활용 철강으로 만들어진 차는 쓰레기 차인가?”
토마스 기요(Thomas Guillot) 글로벌시멘트콘크리트협회(GCCA) 회장은 지난 24일 영국 런던의 힐튼 런던 패딩턴 호텔에서 열린 순환자원 시멘트 관련 간담회에서 이같이 반문하며 순환경제를 위해 대체연료 사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요 회장은 ‘저탄
지난 22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북서쪽으로 4시간 가량 차를 타고 이동해 도착한 베쿰. 독일의 시멘트 제조업체 피닉스 공장이 위치해 있다.
글로벌 시멘트 제조 기업 티센크루프 폴리시우스가 주요 설비를 구축한 피닉스 공장은 1962년 완공 이후 지금까지 가동되고 있다. 연간 생산량은 50만 톤 안팎이다. 단일규모로 세계 최대인 쌍용C&E의 동해공장과
국내 시멘트업계 대표들이 유럽의 시멘트업체 생산 현장을 방문했다. 업계는 이번 방문을 통해 폐플라스틱 등 순환자원 재활용 기술 등 탄소중립 현안 해결을 위해 유럽 시멘트업계와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28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이현준 회장 등 협회 임직원과 국내 시멘트업체 대표,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은 지난 9일~16일 유럽(EU)의회
매년 7월 1일이 ‘시멘트의 날’로 제정됐다. 이날을 기점으로 사회공헌활동과 ESG 경영을 확대 추진하는 등 지속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한국시멘트협회는 1일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제1회 시멘트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80년간 이어온 시멘트산업을 기억하고 임직원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초창기 협회를 창립 발기한 7월
국내 시멘트업계가 유럽 시멘트업계와 주요 환경 이슈 해결을 위해 공동 협력에 나선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시멘트 업계의 순환자원 재활용, 탄소중립 등 주요 환경 이슈 해결을 위해 유럽시멘트협회와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간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양국 간 파트너십 강화는 국내 시멘트업계가 유연탄 대신 순환자원을 재활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관련 교류를 더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