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제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준주거·상업지역 비주거 기준 폐지, 용적률 체계 개편 등 제도 변화 반영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심의안은 지난해부터 추진한 서울시 규제철폐 방안 중 지구단위계획 제도 개정과 관련된 주요 사안들이 포함된다.
올해 1월 개정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이 기존 기준으
서울시는 규제철폐안 1호인 '상업·준주거지역 내 비거주시설 비율 폐지 및 완화'의 신속한 가동을 위해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에 들어갔다고 5일 밝혔다.
현재 서울 시내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비주거시설(공동주택과 준주택을 제외한 시설) 비율을 도시계획조례상 연면적 20% 이상에서 10%로 낮추고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으로 정해진 용적률 10% 이
서울시, 규제철폐안 1‧2호 동시 발표14일에는 시민 참여형 ‘대토론회’ 개최
올 한해 ‘규제철폐’를 핵심 과제로 선언한 서울시가 경제를 활성화하고 민생을 살리기 위한 ‘규제철폐안’ 1‧2호를 5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오세훈 서울시장 주재 비상경제회의에서 규제철폐를 논의한지 20여 일 만이다.
시가 철폐하는 규제 2건은 △상업‧준주거지역 내 주
서울시가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주거·비주거 비율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재정비한다고 25일 밝혔다. 도심 내 주택공급을 촉진하면서 적정한 상업·업무시설 확보를 위해서다.
서울시는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 비율을 연면적 20%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복합쇼핑몰 수요,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여러 소비패턴의 변화와 서울 도심
장기간 방치됐던 서울역 인근 대규모 철도부지가 연면적 34만㎡의 전시·호텔·판매·업무 복합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제1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서울역 북부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의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안을 원안 가결했다고 11일 밝혔다.
변경안에는 지난해 12월 건축허가 이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일부 수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하철 5호선 발산역 일대에 공동주택 112가구 규모의 주거복합건축물이 들어선다. 2호선 신정네거리역 주변에는 700여 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단지가 건립된다.
서울시는 이달 29일 개최한 제1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강서구 내발산동 652-4번지 역세권 복합개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31일 밝
서울 용산구 일대에 경찰청 별관과 민원콜센터가 새롭게 지어진다.
28일 서울시는 전날 제2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용산구 한강로3가 40-1008번지 일대 용산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산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은 공공청사(경찰청)를 신설하는 계획내용으로, 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250%
종교시설과의 갈등으로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장위10구역 재개발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2일 서울시는 제12차 서울특별시 도시정비위원회를 열고 장위동 68-37번지 일대 장위 10 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촉진계획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곳은 2008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고 2017년 관리처분인가까지 받았지만, 그동안 종교시설과의
서울시는 지하철 1호선 개봉역 인근(구로구 개봉동 403-29번지 일대)에서 627가구 규모의 ‘개봉동 역세권 청년주택’을 공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청년주택은 40여 년 된 노후 건물을 철거한 자리에 들어선다. 총 연면적 3만4461㎡ 규모의 지하 3층~지상 24층 주거복합 건축물로 조성된다.
건축물 저층부엔 상업시설, 상층부엔 주거시설이 들
서울 구로구에 역세권 청년주택이 처음으로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하철 1호선 개봉역 인근에 '개봉동 역세권 청년주택' 268가구(공공임대 50가구·민간임대 218가구)를 공급한다고 5일 밝혔다.
50년 넘은 노후 공장이 있던 이 곳은 앞으로 지하3층~지상20층 주거복합 건축물로 재탄생한다. 지하3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하1층은 근린생활시설 및 커뮤니
서울 3, 6호선 연신내역 인근에 ‘불광동 역세권 청년주택’ 264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는 불광동 323-21번지 일대에 대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촉진지구로 지정, 도시관리계획을 승인해 결정고시 했다고 2일 밝혔다.
불광동 역세권 청년주택은 공공임대 74가구, 민간임대 190가구가 공급된다. 올해 8월 중 착공해 2023년 2월 입주 예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 인근에 ‘신길동 역세권 청년 주택’ 576가구(공공임대 70가구, 민간임대 506가구)가 건립된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내년 2월 중 착공해 2023년 12월 입주 예정으로 가구 수의 약 20%에 해당하는 116가구는 신혼부부에게 공급된다.
30여 년 된 기존 노후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을 철거하고 총 연면적 5
서울시 강서구 공항동 50-1번지 일대에 역세권 청년주택 299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18일 공항동 일대에 대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촉진지구를 지정하고 건축허가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김포공항과 지하철 5호선 송정역, 9호선 공항시장역이 인접한 곳이다.
서울시는 40여 년 된 기존 노후 근린생활시설을 철거하고 총 연면적
서울시가 상업·준주거 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낮추고 임대주택 추가 확보 시 제공하는 용적률 인센티브를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는 14일 열린 제9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이 수정가결됐다고 16일 밝혔다.
변경안은 3월 개정·시행된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 내용 반영을 위해 상업‧준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19층 규모의 주거복합 문화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8일 제4차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역삼동 653-4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9일 밝혔다.
대상지는 지하철 9호선이 통과하는 봉은사로와 언주로가 만나는 교차로에 위치한 6908.1㎡의 부지로, 공공성이 떨어지는 민간 체육시설을 폐
서울시는 우수한 도심에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상업ㆍ준주거 지역의 용적률을 완화해주는 내용의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2일 공고한다고 밝혔다.
앞서 3월 서울시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를 개정했다. 이번 공고를 통해 개정된 조례가 실제 반영되도록 상업ㆍ준주거 지역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 전체를 일괄 재정비 추진한다. 3일부터 14
도심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서울시가 주거 용적률을 상향했다. 상업지역의 주거용 용적률은 400%에서 600%로, 준주거지역은 400%에서 500%로 조정된다.
서울시는 27일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 중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하나로 입지가 우수한 도심(상업ㆍ준주거)내 보다 많은 주택 공급을 위해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를 개정해 28일부터 시행한다.
서울 서초구에 역세권 청년주택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서초구 서초동 1502-12번지 일대 '서초역 역세권 청년 주택'에 대한 건축 허가를 4일 받아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8일 밝혔다.
1997년 건립된 기존 노후 골프연습장을 철거하고 지하 4층, 지상 12층 총 1만8529.98㎡ 규모의 주거복합 건축물을 건립한다. 공공임대 68가구, 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인천 루원 도시개발사업지구 주상복합용지 3필지를 9일 공고를 시작으로 신규 출시한다.
루원시티는 93만4000㎡ 규모로 청라경제자유구역과 인천가정지구로 연결되는 수도권 서부지역 중심에 위치한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등 광역교통망과 작년 7월 개통한 인천도시철도 2호선 가정역을 이용할 수 있고, 지하철 7호
앞으로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 등 건축허가를 받아 짓는 소규모 건축물도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층간소음 방지를 통한 이웃간 분쟁을 줄이기 위해 소규모 주택의 ‘층간소음 방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오는 13일부터 각 지방자치단체에 배포한다고 12일 밝혔다. 마련된 가이드라인은 현재로서는 권장사항이지만 올해 11월 29일부터는 강행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