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은 3월 무역센터점 지하 1층에서 영국 스타 셰프 고든 램지가 만든 캐주얼 콘셉트 버거 브랜드 ‘고든램지 스트리트 버거’ 매장을 선보인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020년 영국 론칭 후 첫 해외 매장이자 아시아 최초 매장이다.
이번 무역센터점 ‘고든램지 스트리트 버거’는 미쉐린 스타 셰프인 고든램지의 레시피로 구현하는 최고급 다이닝 수준의 버거
유럽의회, 21일 육류 포함 제품에만 버거 명칭 쓸 수 있는 법안 표결 “버거는 육류 사용해서 버거” VS “베지버거, 이미 소비자에 익숙”
대두 등 식물성 단백질을 사용한 ‘베지 버거’의 명칭을 두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실제 고기를 사용하지 않은 제품에 ‘버거’ 명칭을 쓰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
꿈과 희망을 안고 출발했던 2020년대의 첫 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전례 없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실망과 좌절로 얼룩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인류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시대를 강제적으로 맞이하게 됐고, 인구절벽과 미국·중국 간 패권 전쟁 등 불안 요소도 상존한다. 그러나 인공지능(AI)과 로
미국 내 육류 대란이 가시화하고 있다. 패스트푸드 체인 웬디스는 햄버거 등 일부 메뉴에 대한 판매 제한을 시작했고, 대형 유통업체에서는 소비자 1명 당 고기 구매량에 제한을 두기로 했다. 소고기와 돼지고기 가공·처리 공장이 직원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으로 문을 닫은 가운데, 이에 따른 육류 생산 및 공급 차질이 유통업계에 이어 패스
미국의 한 채식주의자가 인공고기 패티를 일반 버거용 패티와 같은 그릴에서 구웠다는 이유로 미 패스트푸드업체 버거킹을 고소했다.
19일(현지시간) 타임에 따르면 채식주의자인 필립 윌리엄스는 애틀랜타 지역에 있는 버거킹 매장에서 인공고기 패티가 들어간 ‘임파서블 와퍼(Impossible Whopper)’를 구매했는데 먹다보니 패티에 소고기 부산물이 묻어 있
햄버거 브랜드 버거킹이 식물 유래 대체고기를 사용한 ‘채식버거’를 유럽 전역의 20개 이상의 시장에 출시한다고 11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 아울러 미국에서도 시그니처 햄버거의 패티를 식물성 고기로 대체한 메뉴를 선보이고 시장의 반응을 살피는 등 관련 제품 판매를 대폭 늘릴 예정이다.
먼저 버거킹은 12일부터 유럽 전역 2400개 이상의 매장에서
세계 최대 햄버거 체인 맥도날드가 30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에서 대체고기 패티를 사용한 햄버거를 시험 판매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7일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전날 식물 유래 대체고기를 사용한 햄버거를 이달 30일부터 12월 하순까지 캐나다 온타리오 주 28개 매장에서 판매한다고 발표했다. 햄버거 패티는 완두콩 단백질 성분과
미국 대형 패스트푸드체인 KFC가 선보인 ‘닭고기 없는 치킨’이 대박이 났다.
2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KFC가 전날 애틀랜타의 한 매장에서 시범 출시한 식물성 치킨, ‘비욘드 프라이드 치킨’(Beyond Fried Chicken)이 하루 만에 다 팔렸다.
KFC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해 고기 대체품을 제조하는 식품업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