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2017년도 제1회 이사회를 열어 올해 사업 계획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철스크랩위원회는 올해 확정된 사업계획의 목표를 ‘철스크랩 유통환경 개선 및 품질관리 강화’로 잡았다. 이에 따라 철스크랩산업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해외 선진 철스크랩 단체와의 교류를 늘리기 위해 총력을 다 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의적 불순물 신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12일 협회 대회의실에서 2014년도 제1회 이사회를 개최하고, 올해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철스크랩 산업의 품질향상 및 지속가능 경영지원’이라는 기본 목표를 바탕으로 철스크랩 품질향상 및 거래기준 개선, 철스크랩 경영환경 개선 지원, 자원순환시스템 개선 및 가공산업 활성화 유도 등 3개의 중점 사업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오는 11월9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2010년 철스크랩 국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철스크랩 관련 해외 주요국의 현황 파악을 통한 철스크랩 경쟁력 확보 방안 모색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철스크랩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는 중국에서 중국강철협회 치상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내년 1월1일부터 철스크랩에 대한 제강업계의 검수판정을 새로운 KS분류기준(KS D2101의재생용 강스크랩 종류)에 의해 통일된 검수기준으로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에서는 그동안 KS분류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제강사의 자의적 분류기준에 의한 철스크랩 검수 판정의 결과로 수요업계와 공급업계간
기술표준원이 세계 최초로 철스크랩(고철) 업체에 대한 한국산업표준 표시인증(KS인증)을 시행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14일 철강원자재인 고철의 수급 안정화화 품질향상을 위해 철스크랩 업체에 대한 KS인증을 지난 10일부터 시행했다고 밝혔다.
철스크랩 업체에 대해 국가주도로 인증을 부여한 것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이며 KS인증을 취득하기 위해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11일 강스크랩의 실질적인 거래기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통일된 제강사 검수표준 제정을 위해 준비해온 KS규격 (KS D 2101, 재생용 강스크랩 종류) 개정이 지식경제부 기술 표준원 심의를 거쳐 지난 10일자로 개정 고시됐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 12월에 발족된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수요업계와 공급업계간
철스크랩 운반을 위해 적재함 높이를 개조해도 이젠 단속을 받지 않게 된다.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는 최대적재량 9.5톤과 차량 총중량 20톤을 초과하는 철스크랩 운반전용 화물자동차에 대한 구조변경 승인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들 차량은 적재함 높이를 지상으로부터 3.5m까지 합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0
철스크랩(고철) 분류기준이 16년 만에 26개 등급으로 개정고시돼 유통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는 3일 철스크랩 분류기준이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심의를 거쳐 5월 31일자로 주철 및 강스크랩 분류 기준으로 변경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 고시된 철스크랩 분류 기준은 지난 91년 고철 분류 기준으로 개정된 이후 철스크랩 유통시장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