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도심항공교통(UAM)과 지능형 도로 인프라 등 미래전랴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과 손을 잡았다.
KCL은 28일 KAIA와 미래전략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2016년 체결된 포괄적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양 기관이 기존 협력 관계
GS건설이 환경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 지구촌 전등 끄기 캠페인 ‘어스아워 2025’에 동참한다고 21일 밝혔다.
‘어스아워(Earth Hour)’ 행사는 비영리 자연보호기관 ‘세계자연기금(WWF)’가 주관하는 세계최대규모의 기후 위기 대응 캠페인이다. 2007년부터 매년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밤 8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불을 꺼 기후변화의 심각
호반건설이 건설폐기물 처리 및 건자재 전문기업 장형그룹, 재활용 솔루션 개발 기업 에코리믹스와 ‘건설폐기물 자원 순환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서울 서초구 호반파크 2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문갑 호반건설 경영부문대표, 소환순 장형그룹 회장, 홍제태 대표, 송호재 에코리믹스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롯데건설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 연구 과제에 참여해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에 시범적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롯데건설은 국책 연구 과제인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12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 딥비전스, 브이피피랩, 와이콤마, 제스트 등이다.
◇딥비전스
비전 인공지능(AI) 기술로 미세먼지 측정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딥비전스는 최근 프리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라운드 마지막 투자는 하나금융그룹이 조성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가 참여했다. 라운드 총투자금액
서울에서 원주와 제천, 경주를 거쳐 부산까지 이어지는 중앙선 철도가 82년 만에 단선 비전철에서 복선 전철로 재탄생해 운행을 시작한다.
19일 국토교통부는 오는 20일 운행을 개시하는 중앙선 철도 복선 전철화 완전 개통 기념식을 경북 안동역에서 연다고 밝혔다. 1942년 개통한 중앙선은 1990년대부터 복선 전철화 사업이 추진됐다.
20일부터 청량리
자연생태복원 및 친환경 건설자재 제조기업 자연과환경이 '대한민국 강소기업 대상'에서 혁신상품 친환경건설 자재 및 공법 부문 4년연속 대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올해는 최대 50%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반 공동구용·케이블트로프용 덮개 기술이 인정받았다.
이병용 자연과환경 대표는 "수요처에 더 나은 기술과 제
대우건설은 한라시멘트와 함께 개발한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의 현장타설 적용 실적을 바탕으로 건설사 중 최초로 탄소저감 성과를 인정받는 ‘탄소크레딧’ 인증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2022년 개발한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는 상온양생 환경에서 기존 콘크리트 대비 평균 112㎏/㎥까지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약 54%의 CO₂ 배출 저감 효과 내면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기준으로 무역협정에 적용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ESG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도 제조시설에 친환경 정책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제조 시설과 과정에 대한 ESG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기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꼽힌다. 지난달 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ESG(환경ㆍ사회ㆍ기업 지배구조) 경영 우수성을 인정받아 공공기관 부문 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LH는 2024 한국ESG경영대상 'THE BEST ESG’ 시상식에서 공공기관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2024 한국ESG경영대상 ‘THE BEST ESG’는 한국ESG위원회와 ESG코리아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친환경 건설의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이앤씨가 재생(자가발전) 에너지가 적용된 조경시설물 개발에 나섰다.
23일 포스코이앤씨는 시설물 개발·시공전문업체 '디자인파크'와 함께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벤치, 테이블 등 4종의 조경시설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시설물은 자가발전 사이클로 전력을 생성해 야간 조명으로 활용할 가능하며 생성된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은 산업단지 입주기업 코멕스전자, 제이씨텍, 그린플러스종합건설, 세일즈인사이트, 제이에스오피스, 대도엔지니어링이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챌린지'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따.
산업단지 디지털전환 챌린지는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디지털 전환 공감대 형성과 기업의 참여 유도를 목적으로 5월 30일부터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캠페인
삼표산업이 자체 개발한 특수 콘크리트 ‘블루콘 셀프’(BLUECON SELF)를 부동산 개발 사업으로 확대, 적용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고품격 민간임대 아파트 힐스테이트 DMC역의 기초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시작으로 지하·지상·옥상 등 시기별 제품(4종)의 적용 범위를 확대해 기술력과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삼표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삼표산업은
반도건설이 2024년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건설사업자 간 상호협력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반도건설은 ‘실천적 ESG경영’을 핵심 경영방침으로 실천해 왔다. ESG경영의 본격적인 도입 이후 현장 협력사 임직원들의 안전 및 처우개선과 협력사와의 기술개발을 통한 특허출원 등 지속적인 상생경영과 동반성장을 지
대우건설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ESG 분야의 성과를 공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2012년부터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오고 있다.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최초로 인쇄책자 없이 전자문서 형태로만 발간됐다.
이번 보고서도 작년에 이어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고객만족 및 품질향상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스마트모듈러포럼과 한국철강협회, LG전자 및 4개 모듈러 제조기업과 모듈러주택 기술개발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LH와 스마트모듈러포럼, 한국철강협회, LG전자와 주요 모듈러 제조사인 엔알비, 유창이앤씨, 자이가이스트, 플랜엠 등 8개 기관이 모여 고성능·고품질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위한
GS건설 사내벤처 2호인 제로넥스트머티리얼즈가 독립법인으로 분사하며 친환경 건설자재 시장에 도전장을 낸다.
12일 GS건설은 류종현 제로넥스트머티리얼즈 대표와 이종훈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로넥스트머티리얼즈 투자유치행사를 했다고 밝혔다.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는 '탄소 제로 (Carbon Zero)를 넘어 그 다음(Next)를 위
친환경건설 전문기업 자연과환경은 ‘U자형 벽식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주택’이 국토교통부 스마트 건설기술 분야 신기술지정을 받아 ‘2024 국토교통기술대전’에 참가한다고 14일 밝혔다.
자연과환경은 ‘모듈러주택’을 괴산 토양정화센터에 기숙사로 완공했다. OSC기반 모듈러주택 및 프리캐스트 부재들을 생산함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물류창고, 우수저류
GS건설은 서울대 공학 대학 내 인공지능(AI) 기술 연구시설로 활용될 해동첨단공학관 준공식을 25일 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허윤홍 GS건설 대표와 김영재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유홍림 서울대 총장 등이 참석했다.
해동첨단공학관은 연면적 약 1만㎡, 지상 7층 규모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함께 중정 부분은 친환경 건축 소재인 목재를 구조체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세종 5-1생활권(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L5블록에 국내 최대 규모 모듈러주택을 스마트 턴키방식으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아울러 건설산업체계를 혁신하고 모듈러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해 ‘2030 LH OSC주택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OSC(Off-Site Construction)는 탈 현장건설 기반으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