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가 카카오 대란 재발 방지를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전기안전공사는 '대용량 고출력 무정전전원장치 위험성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국가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공사 전기안전연구원은 일명 카카오 대란으로 불리는 2022년 10월 15일 발생한 판교 데이터 센터 무정전전원장치(UPS) 화재 사고를 계기로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
여야 간사, 온플법 공청회 개최 합의…설 이후 날짜 조율백혜련 정무위원장, '온플법 제정 토론회' 개최…"빠른 속도로 논의 시작"이재명 대표도 참석…"공정한 시장 제도화 큰 역할 해달라"업계는 여전히 반대…"디지털 경제 피해 볼 것"
국회에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17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온플법 소
'카카오 대란' 이후 온플법 4건 발의정무위에서 논의 시작도 못 해…"개별 의견교환 정도만"예산안ㆍ국정조사로 여야 대치 심화…법 제정 논의도 계속 늦춰질 듯
지난달 '카카오 대란' 이후 정치권에서 온라인플랫폼 관련 법의 필요성을 강조한 지 두 달이 돼가지만 국회에서는 제대로 된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여야 간 정쟁이 갈수록 심화하면서 법 제정
카카오에 대한 국민 이미지는 ‘가벼움’이었다. 젊고,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기동성을 갖춘 기업이라는 것이다. 자연스레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의 신화가 됐다. 재벌이라는 부정적 이미지에 카카오는 신선한 바람과도 같았다. 그 바람은 위력적이었다. 이동통신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을 제압하고 SNS 1위에 올랐다. 포털 서
'카카오 먹통' 사태…여야 "초거대 플랫폼 무책임한 경영" 일제히 지적文 정부, 온라인 플랫폼 법적 규제 위한 '온플법' 추진…尹 정부 들어 제동온라인플랫폼 규제 필요성 부각될 듯…조승래 "제도적 규율 공감대 형성"
'카카오 대란' 이후 정치권에서 카카오 등 온라인플랫폼 사업자들의 책임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을 법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