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용 항생제 제조업체 생산 현장인 일동제약 안성공장을 방문했다고 14일 밝혔다.
김유미 식약처 차장은 전날 안성공장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용 항생제 생산 현황과 원료 보유량 등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일동제약 대표이사인 윤웅섭 부회장과 최고운영책임자 이재준 부사장 등도 함께 배석해 치료제 공급과
HK이노엔(HK inno.N)은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K-CAB, tegoprazan)’이 지난 1일자로 소화성 궤양 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에 쓰이는 경우에도 보험급여가 적용된다고 3일 밝혔다.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 이하 ‘헬리코박터균’)은 위장 점막에 주로 감염
HK이노엔의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보유한 다섯 개의 적응증에 모두 보험급여가 적용된다.
HK이노엔은 1일 자로 케이캡이 소화성 궤양 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 요법에 쓰일 때에도 보험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 이하 헬리코박터
한국콜마 관계사인 씨제이헬스케어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P-CAB계열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새롭게 추가된 적응증은 '소화성 궤양 및/또는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에서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이다.
케이캡정은 미란성 및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치료에 이어 헬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이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 치료에도 사용된다.
씨제이헬스케어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P-CAB계열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새롭게 추가된 적응증은 '소화성 궤양 및/또는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에서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이다.
케이캡
의약품 제형이 진화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제약사들이 더 작고 한 번에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제형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제형 변화는 제약시장에서 신약개발만큼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작고 복용하기 쉬운 의약품 연구가 이어지고 있는 것.
그 동안 전 세계 의약품들은 정제형, 연질캡슐, 필름제, 츄
△이녹스첨단소재, 주당 0.03주 배당 결정
△이녹스, 주당 0.03주 배당 결정 4
△케어젠, 주당 600원 현금배당 결정
△토박스코리아, 최대주주 이선근 외 3명으로 변경
△레고켐바이오, 35억 규모 토지 취득결정
△우진비앤지, 돼지유행성설사병 바이러스 백신 판매 시작
△테스, 발광소자 보호막 증착방법 특허 취득
△대화제약, 치매 예방·치료
휴온스는 소형화된 항생제인 클래리트로마이신 경구투여 제제에 대한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회사 측은 "기존 발매제품 클리스로 250 mg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본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크기가 큰 제품을 소형화 하는데 확대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휴온스글로벌의 자회사인 휴온스는 항생제인 ‘클래리트로마이신(Clarithromycin)’의 알약 크기를 3분의 1로 줄인 경구투여 제제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클래리트로마이신을 함유한 정제의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의 정제화 과정에서 첨가되는 부가적인 물질의 양을 대폭 줄이는 방식으로 정제의 크기를 최
“전 세계 800조원 규모의 합성의약품 제네릭 시장이 이미 열려있다. 우수 품질의 제네릭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겠다.”(2015년 3월 서정진 셀트리온제약 회장)
셀트리온제약이 합성의약품 제네릭의 글로벌 도전을 선언한지 2년여만에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5년 충북 오창에 대규모 공장을 설립한 이후 2년 6개월 동안 70여개의 제네릭을 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5일 한국애보트가 수입한 항생제에서 금속 이물질이 검출돼 해당 제품을 회수하고 사용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한국애보트가 수입한 항생제 '클래리시드건조시럽 250㎎/5㎖'(사용기한 2017년12월 31일·제조번호 6057795)에 대한 사용 중지 조치를 내렸다. 제조번호가 다른 동일 제품에 대해서도 잠정적으로 판매금지ㆍ사용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