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롯데면세점 수장에 오른 김주남 대표이사(전무)가 위기 탈출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올해 들어 수익성은 개선했으나 매출은 줄었다. 무엇보다 글로벌 허브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에서 사업을 철수한 게 뼈아픈 실책으로 꼽힌다. 김 대표는 공항 면세점 대신 시내·온라인면세점에 집중하는 등 자구책으로 위기 돌파구를 찾고 있다.
25일 롯데면세점이 속한 호텔롯데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신규 입찰 사업자 선정 결과에 대해 이변의 연속이라는 반응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세계 1위 면세 사업자인 중국국영면세품그룹(CDFG)이 입찰에 뛰어들어 면세업계가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에 한껏 긴장했으나 예상보다 낮은 입찰가에 찻잔 속 태풍에 그쳤다. 또 글로벌 2위 사업자이자 국내 면세업계를 대표하던 롯데면세점이 사업자
롯데그룹이 후계구도를 둘러싼 형제의 난으로 드러난 불투명한 지배구조로 여론의 도마에 올라 있다. 한국롯데를 지배하는 일본롯데와 일본롯데의 대주주인 일본기업 광윤사로 롯데는 일본기업이라며 불매운동을 펼쳐야 한다는 누리꾼의 비아냥도 받고 있다.
롯데가 일본기업인지 한국기업인지에 대한 정체성 문제는 롯데의 불투명한 지배구조 때문에 일어난 문제다. 특히 한국롯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