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제동향 2월호 '발표…통상 환경 악화, 정국 불안 지속 영향"반도체 호조세로 생산 증가 견인...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 부진"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통상 환경이 악화하고,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안이 이어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발표한 ‘경제동향 1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경기 개선세가 제약되는 가운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증가세를 지속하던 수출도 둔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KDI 경제동향에서 ‘긍정 평가’가 삭제됐다.
KDI는 지난달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 품목을 중심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KDI 경제동향 11월호’에서 소비와 건설투자가 부진하면서 내수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가 내수 부진을 지적한 건 지난해 12월부터 12개월째다. 금융시장에서 취약계층의 부채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 되고 있다.
다만 반도체 설비투자의 증가가 내수 경기에 점차 반영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긍정적
◇기획재정부
7일(월)
△경제부총리 09:50 국정감사(세종청사)
△기재부 1차관 09:00 미래전략포럼(서울 프레스센터)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자개발은행조달설명회 참가 기업 모집(석간)
△중장기전략위원회 주최 미래전략포럼 개최(석간)
△2024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조간)
△제16회 국제금융기구 채용설명회 사전 등록 및 채용
◇기획재정부
5일(월)
△기재부 1차관 투자자 설명회·글로벌 은행 방문 및 양국 경제협력 강화(영국 런던)
△기재부 2차관 10:00 국무회의(용산청사)
△'2024년 나라살림 예산개요' 발간
△‘24년 아시아개발은행(ADB)
△초급 전문가 (JPO) 직위 선발
△중기 익스프레스 1차 회의 개최
△OECD 2월 세계경제전망
6일(화)
△부총리 14: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KDI 경제동향' 1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내수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서서히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KDI는 올해 8월부터 경제가 저점을 지나 반등을 시작했다고 표현한 이후 9월부터 2개월 연속 경기부진이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으나 석 달 만에 서서히라는 표현을 써서 불확실성을 더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경기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며 우리 경제가 저점을 지나 반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이날 'KDI 경제동향 8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판단했다. KDI는 올해 1월에 경기가 둔화 국면에 들어섰다고 밝힌 뒤 5월까지 경기 부진 국면으로 판단했다. 그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