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진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코로나19 mRNA백신 EG-COVID의 국내 임상 1상 시험 결과 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함으로써 임상 1상의 전 과정이 마무리됐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번 보고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시판 백신을 한 번도 접종한 이력이 없는 국내 건강한 성인 총 45명을 15명씩 3개의 군으
펩타이드 바이오 기업 케어젠은 코로나19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중인 스파이크다운(CG-SpikeDown)의 임상 1상이 시작됐다고 26일 밝혔다.
케어젠은 최근 3명의 피험자를 등록했으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이후 준비하고 있던 일정을 개시했다.
이번 임상 1상(NCT05234320)에서는 스파이크다운의 안전성, 약동학 및 약리학을 평가하기
바이오파마는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감염병혁신연합(CEPI)·국내 백신개발사업단 합동 학술대회에서 자체생산 백신 후보물질 BP-303의 전임상 유효성 평가결과를 공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내 감염병 연구개발(R&D) 사업단, 라이트재단(RIGHT foundation), 산·학·연 종사자, 정부 부처 관계자 등 약 150명이 참석해 C
바이오파마는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대응 mRNA 백신의 동물실험(마우스)에서 우수한 중화항체 형성능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바이오파마의 자체 생산 후보물질인 BP-303은 SARS-CoV-2 스파이크단백질 중 삼량체수용체결합영역(trimeric RBD)만을 이용해 개발 중인 mRNA 기반 변이바이러스 백신후보다.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바이오파마는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 비임상 지원사업 과제로 수행 중인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대응 mRNA 백신의 동물실험(마우스) 1차 투여를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2021년 11월 해당 과제에 선정된 바이오파마는 델타 변이 등 변이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의 유효성 및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해 GLP 독성시험에 진입할 최종 후
에이피알지는 경구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APRG64’의 국내 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이 후보물질은 용아초와 오배자의 혼합 추출물로, 퀘르세틴(Quercetin), 우르솔산(Ursolic acid), 펜타 갈로일 글루코스(PGG) 등 다양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진원생명과학은 “햄스터 공격 감염 모델에서, 코로나19 DNA 백신(GLS-5310)을 자체개발한 혁신적 흡인작용 피내접종기Gene-Derm을 이용하여 접종 후면역원성과 유효성을 입증한연구 결과를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Frontiers in Virology’에 게재하게 됐다”고 25일 밝혔다.
회사측은 지난해 10월 “GLS-5310이
4월 말 기준 11조7000억 루피아 손실 추정수출 막히자 팜유 이어 팜 열매까지 외면 당해인니, 식용유 가격 급등에 지난달부터 수출 금지령
인도네시아 농부들이 팜유 수출을 중단한 정부에 항의하며 거리로 나왔다.
17일 인도네시아 매체 콤파스에 따르면 팜 농가를 운영 중인 농부들이 자카르타 경제조정부 청사 앞에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팜유 수출을
팜유 원유, RBD 팜유, 사용된 식용유 등 제한인니, 세계 최대 식용유 생산국오락가락 정책에 팜유 가격 롤러코스터…10% 폭등군함까지 동원해 수출 통제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인 인도네시아가 식용유와 팜유에 대한 수출 금지 대상을 확대했다. 글로벌 식량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팜유를 무기한 수출금지를 단행했다는 소식에 샘표와 신송홀딩스 등 식용유 관련주가 상승세다.
샘표는 28일 오전 10시 53분 현재 전날보다 20.00% 오른 8만7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신송홀딩스도 12.76% 올랐다.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식용유와 RBD 팜올레인 뿐 아니라 팜유원유(CPO)와 RBD 팜유까지 모두 수출하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산 경구용 치료제(먹는 약) 확보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는 없다. 팬데믹(대유행) 이전으로 일상생활을 회복하는 '포스트 오미크론' 전환기가 다가오면서 국내 경구용 치료제 개발 기업들은 효능과 시장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았다.
27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국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의 성공적인 임상3상 결과를 토대로 백신주권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품목허가에 이은 상용화가 가시권에 들어옴에 따라 국내 첫 번째 코로나19 백신이라는 ‘백신주권’ 확보와 백신 수출국으로서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5일 합성항원 방식의
제넨셀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가 최근 중앙임상시험심사위원회(중앙IRB) 심사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말 국내 2/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은 제넨셀은 투약과 상용화 준비에 매진해 왔다. 빠르면 이달 중 투약이 개시될 예정이며, 최근 코로나19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혈액형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증화가 관련이 없다는 그간 연구와 상반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과 케임브리지대, 오스트리아 비엔나의과대 등 공동연구팀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유전학(PLOS Genetics)’에 지난 3일 자로 혈액형을 결정하는 단백질이 코로나19 위중증과 사망 유발과 관련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바이오파마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 비임상 정부 지원사업 과제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바이오파마는 이번 정부과제 선정으로 델타변이 등 변이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 후보물질 'BP-303'의 유효성 및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해 GLP 독성시험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연구책임자인 최영선 연구소장은 "현재
유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이 임상 2상에서 안정성과 유효성을 확보하면서 백신 개발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의 임상 2상 중간결과를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유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임상 2상의 안전성 측면에서 임상약과 관련된 중대한 약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종 오미크론을 예방하기 위한 국내외의 백신 개발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함께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는 백신 생산에 착수했다고 22일(한국시간) 밝혔다. 이 백신은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를 DNA를 전달체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론적으로 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1일 개발중인 자사 코로나19 백신 ‘GBP510’의 플랫폼을 활용해 ‘사베코바이러스(sarbecovirus)’를 표적으로 한 백신 개발에 착수했으며,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로부터 초기 연구개발비 5000만달러(약 600억원)를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이에앞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5월 CEPI로부터 코로나19 백신 G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제기구와 협력해 코로나19와 변이주가 속한 바이러스 계열을 전방위적으로 예방할 ‘범용 백신’을 만든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GBP510’의 플랫폼을 활용해 ‘사베코바이러스(sarbecovirus)’를 표적으로 한 백신 개발에 착수,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로부터 초기 연구개발비 500
유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노트와 코로나19 변이주 대응 유니버셜 백신 개발 및 상품화 계약의 우선단계로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백신을 우선 개발하기로 추가 협약을 맺고, 이달 중 본격적인 동물효력시험을 통해 백신개발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국내 확진자의 대부분이 기존 개발 백신의 항원바이러스와는 다른 델타 변이주로 밝혀지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