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10명 중 1명만 식품구입시 영양성분 확인”

입력 2014-11-05 17: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배윤정 신한대 식품조리과학부 교수, 19∼64세 남녀 8190명 영양표시 활용 정도 조사

마트에서 영양표시를 보고 식품을 사는 남성이 10명 중 1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은 배윤정 신한대 식품조리과학부 교수가 지난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토대로 19∼64세 남녀 8190명의 영양표시 활용 정도를 조사한 뒤 그 결과를 ‘저널 오브 뉴트리션 앤 헬스’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배윤정 교수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제품을 살 때 영양성분표를 읽는 남성은 17.9%에 불과했다. 게다가 영양표시를 읽고도 실제 제품 구입에 이를 반영하지 않는 남성이 5.4%로 나타났다. 결국 남성은 12.5%만이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이를 제품 살 때 참고하는 셈이다.

마트 등에서 영양표시를 읽는 여성은 남성보다 두 배 가량(38.1%) 많았다. 영양표시를 보고 이를 제품 구입에 반영까지 하는 여성의 비율(30.7%)도 남성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읽는 남성의 경우 영양성분표에 표시된 9가지 의무 표시 항목 중 열량(7.5%)ㆍ트랜스 지방(2.7%)ㆍ콜레스테롤(1.9%)ㆍ단백질(1.9%)ㆍ지방(1.2%) 수치를 중시한 반면, 고혈압ㆍ위암ㆍ골다공증 등을 부를 수 있는 나트륨 함량(0.9%)을 살피는 남성은 100명에 1명꼴도 안 됐다. 여성은 9가지 표시 항목 가운데 열량(17.3%)ㆍ트랜스 지방(8%)ㆍ나트륨(3%)ㆍ콜레스테롤(2.8%)ㆍ지방(2.2%) 순으로 확인했다.

배윤정 교수는 “마트 등에서 영양성분표에 쓰인 단백질 함량을 읽는 비율은 예상 외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며 “근육을 만들어 몸짱이 되고 싶어 하는 일부 남성들이 단백질 함량을 눈여겨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식생활의 질도 영양표시를 열심히 보는 사람들이 영양표시를 무시하는 사람들에 비해 훨씬 높았다. 마트 등에서 영양표시를 유심히 살피는 남성은 채소ㆍ버섯ㆍ우유ㆍ양념의 섭취량이 많았고, 영양표시를 외면하는 남성은 곡류 섭취량이 많았다. 여성도 영양표시를 잘 살피는 여성은 콩ㆍ견과류ㆍ우유를, 영양표시에 둔감한 여성은 당류를 더 많이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배 교수는 “영양표시를 적극 활용하는 사람들은 라면을 적게 먹었다”며 “영양표시에 눈을 감은 사람들은 두유ㆍ요구르트ㆍ우유를 적게 먹는 대신, 남성의 경우 소주를, 여성의 경우 탄산음료를 더 많이 섭취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82,000
    • +5.22%
    • 이더리움
    • 2,605,000
    • +10.99%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3.53%
    • 리플
    • 3,249
    • +7.69%
    • 솔라나
    • 218,100
    • +7.97%
    • 에이다
    • 1,012
    • +9.88%
    • 이오스
    • 968
    • +6.26%
    • 트론
    • 353
    • +0.28%
    • 스텔라루멘
    • 390
    • +8.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60
    • +5.21%
    • 체인링크
    • 21,580
    • +11.52%
    • 샌드박스
    • 430
    • +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