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구닐라 린드베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정위원장은 강원도 강릉에서 열린 제4차 프로젝트 리뷰 회의 개회사에서 "평창겨울올림픽 분산개최는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달 올림픽 종목을 개최지 이외의 도시에서도 열릴 수 있도록 한 개혁안이 통과되면서 불거진 남북 분산개최 논란은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평창겨울올림픽 남북 분산개최 논란은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발언으로 촉발됐다. 최 지사는 지난 5일 남북 분산개최에 대해 사견임을 전제로 "일부 종목에 한해 북측이 요구하는 분산개최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전날 북한이 올림픽 공동개최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만한 보도를 내놓은 데 이은 발언이었다.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흰눈 덮인 마식령에 끝없이 메아리치는 행복의 웃음소리'라는 제목의 글에서 "스키장이 문을 연 1월1일부터 지금까지 1000여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방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 지사의 발언이 나오기 무섭게 곳곳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 관계자는 "조직위는 남북 분산개최에 대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유인환 평창군의회 의장은 "경기장과 도로 등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데 분산개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만일 분산개최가 추진된다면 '올림픽 반납' 등 강력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강원지역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경제성을 근거로 남북 분산개최보다는 도내 분산개최를 주장했다.
논란이 커지자 통일부와 청와대가 "분산 개최는 없다"고 서둘러 교통정리에 나섰다. 그리고 IOC의 입장 표명으로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남북 분산개최가 무산됐다는 결과 자체가 아쉬운 것은 아니다. 제대로 된 논의 없이 서둘러 봉합되는 분위기가 안타깝다. 그러기에는 사안이 너무도 무겁기 때문이다. 남북 분산개최는 시기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현실화되기엔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최근 미국 소니 영화사 해킹 이후 미국과 북한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정부도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올림픽을 준비하는데 11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들어가기에 경제적인 면도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게 다가 아니다. 이산가족은 하나 둘 씩 세상을 떠나고 있고 남북간의 긴장 속에 올해도 37조4560억원이라는 국방예산이 투입된다. 여기에 분단이 길어지면서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은 약해지고 있다. 역사를 살펴보건대 남북은 단일팀 구성이나 공동 입장, 응원단 파견 등 스포츠를 통해 꼬였던 관계를 종종 풀어나갔다.
무엇보다 우선 고려돼야 할 것은 평창겨울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다. 근대 올림픽의 이상은 '스포츠에 의한 인간의 완성과 경기를 통한 국제평화의 증진'이다. 우리가 올림픽을 준비하는데 있어 북한을 바라봐야할 자세는 여기서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