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이 심해지면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수도권 전세시장 점검’에서 수도권 전세수급 불일치가 심화되고 있다면서 빚이 없고 주택구입 의사가 있는 29만8000 전세가구가 집을 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전세물량 유지 및 공급 확대를 위해 전세매입임대 등 전세방식의 임대주택 공급 확대, 개인 보유 전세주택 감소 속도 완화 지원, 85~102㎡ 규모 아파트 공급 확대를 위한 주택규모 관련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전월세거래시장 규모는 2013년 91만5000건에서 지난해에는 97만8000건으로 계속 커지고 있고 전세가격 상승압력도 아파트를 중심으로 더 높아지고 있다.
전세가격이 연립·단독주택은 소형규모에서 오르는데 반해 아파트는 전 평형대에서 급등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85~102㎡ 규모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많이 오르는 현상에 대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주산연의 설명이다.
주거이동(이전주택→현재주택)에 따른 전세분산, 전세유지, 전세진입 규모를 분석해 ‘전세압력수준’을 살펴보면 2010년 0.4%에서 2012년 5.7%로 2년 사이에 약 16배가 증가하면서 전세가격이 많이 상승했다.
수도권 전세가격 상승압력이 계속 커지는 이유는 전세가구 중에서 자가로 전환하는 가구가 줄어 총량적 전세수요가 감소하지 않고 전세관련 시장 규모가 2010년 51.4%에서 2012년 52.7%로 더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저금리 영향으로 전세물량마저 감소해 전세 수급불일치 문제가 더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산연은 전세수급 불일치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수도권의 전세가격 급등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수 밖에 없지만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수요는 미미하여 전세의 월세전환을 유도한 전세시장 안정화 정책은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세정책 목표를 ‘전세의 월세화 연착륙 유도’로 설정하고 ‘전세수요 분산 유도-전세수요 지원’의 투트랙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수도권 무주택 전세가구 212만 가구(‘12년 기준)중에서 매매 전환이 가능한 29만8000 가구가 주택을 구입해 전세수요가 줄 수 있도록 주택구입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9만8000 가구는 빚이 없는 가구로 전세가격이 오르면 전세 대신 주택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잠재수요라는 것이다.
이는 무주택 임차가구의 주택구입 의향률, 현 전세가율 수준에서 주택구입 고려의사 가구 비율, 부채보유 유무를 고려해 추정한 수치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무주택 전세가구의 전세자금 대출을 줄이거나 중지할 경우 무주택 전세가구가 재무적으로 더 취약해질 수 있어 전세자금 지원은 계속해야 한다”면서 “다만 전세자금 및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대출시 상환계획 작성을 유도하고 만기일시 상환방식을 원(리)금 상환방식으로 유도해 전세자금의 순기능인 ‘저축효과’ 기능을 제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