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쟁이 로봇, 물 위에서 지상 만큼 ‘폴짝’…“초소형 정찰 로봇으로 활용”

입력 2015-07-31 13: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YTN 뉴스 캡쳐)

국내 연구진이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서 뛸 수 있는 초경량 로봇을 개발했다.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의 김호영·조규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물 위 소금쟁이가 물의 표면장력을 최대한 이용해 도약하는 방식을 활용한 ‘수상 도약 로봇(water jumping robot)’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소금쟁이는 물 위에서 뛰어오를 때 단순히 수면을 아래로 누르지 않고서 넓게 벌렸던 다리 4개를 가운데로 모으고서 위로 뛰어오른다. 다리를 가운데로 모으는 시간을 최대한 끌어 가속에 필요한 힘을 벌고, 물을 누르는 힘도 표면장력이 버틸 수 있는 한계치 이하로 조절해 물 아래로 빠지는 일 없이 힘차게 도약한다.

연구팀은 이런 소금쟁이의 도약 특성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금쟁이처럼 표면 장력을 최대한 활용해 효율적으로 점프하는 로봇을 만들어냈다.

벼룩의 도약기관 구조를 따라 한 ‘토크 역전 메커니즘’을 활용해 소금쟁이의 다리 회전(모으기) 및 추력 곡선을 모사했고, 구동장치(actuator)의 최대 추력도 표면 장력 허용 한계를 넘지 않도록 설계했다.

이런 구동 장치에 가늘고 긴 형상 합금 다리 4개를 연결해 몸무게가 단 68㎎에 불과한 로봇을 구현했다. 로봇의 구동장치는 외부에서 열을 가하면 움직이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 로봇이 수면 아래로 발이 빠지지 않은 채 표면장력을 최대한 이용해 도약하는 것은 물론 뛰는 높이도 지상에서 뛰는 만큼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생물학자와 유체역학자, 로봇공학자의 노력이 합쳐져서 이룬 융합연구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멀리 생각하면 초소형 정찰 로봇에 쓸 수 있겠지만, 이 원리를 활용한다면 의학이나 생산 등 여러 분야에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2: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01,000
    • -1.29%
    • 이더리움
    • 2,710,000
    • -3.04%
    • 비트코인 캐시
    • 452,500
    • -0.15%
    • 리플
    • 3,050
    • -2.34%
    • 솔라나
    • 178,800
    • -3.72%
    • 에이다
    • 969
    • -2.81%
    • 이오스
    • 1,259
    • +13.83%
    • 트론
    • 353
    • +0%
    • 스텔라루멘
    • 396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90
    • -1.41%
    • 체인링크
    • 19,680
    • -3.91%
    • 샌드박스
    • 393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