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분쟁 2라운드] 신동주 ‘36.6’ vs 신동빈 ‘29.1’… 한일 롯데 경영권 분쟁 새 국면

입력 2015-10-08 15:54 수정 2015-10-08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진환 기자 myfixer@)
(노진환 기자 myfixer@)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에서 밀려난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동생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상대로 소송에 나선 가운데 재계의 예상과 달리 지배력에서도 앞선 것으로 밝혀져 형제간 분쟁의 쟁점이 될 전망이다.

신 전 부회장은 8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친 신격호 총괄회장의 위임을 받아 한·일 양국에서 신동빈 회장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신 전 부회장은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광윤사를 비롯해, 일본 롯데홀딩스의 지분이 신 회장보다 더 많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 전 부회장의 주장대로라면 신 회장이 신 전 부회장보다 지분이 낮음에도 일본 롯데홀딩스의 대표이사이자 회장 자리에 올랐다는 것으로, 향후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기자회견에서 밝혀진 광윤사 지분구조에서 신 전 부회장의 지분은 50%로 신동빈 회장의 38.8%를 크게 웃돈다. 신 전 부회장이 신설한 SDJ 코퍼레이션스의 민유성 고문은 광윤사가 호텔롯데 지분 5.5%도 갖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로 봤을 때에는 롯데홀딩스의 55.8%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셈이라고 밝혔다.

민 고문은 또 호텔롯데의 최대주주인 일본 롯데홀딩스도 경제적 가치로 지분 소유 구조를 봤을때 신 전 부회장이 36.7%, 신 회장 29.1%, 신격호 총괄회장 8.4%, 가족 및 장학재단 등이 25.9%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신 전 회장 측의 말하는 지분율은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을 갖는 경제적 가치로서의 지분율로, 법률적 주식 소유의 지분율과는 다소 다르다.

앞서 지난달 17일 국감에서 박병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광윤사는 신씨(신 회장) 가족이 지분의 99.6%를 갖고 있다”며 “이 중 신 회장이 38.8%, 모친(시게미쓰 하쓰코)이 10%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롯데홀딩스의 지분율도 밝혔다. 박 의원은 “롯데홀딩스 지분 38.1% 중 신 회장 1.4%. 신 총괄회장 0.4%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공개된 롯데홀딩스의 지분은 61.9%(광윤사 28.1%, 종업원 지주회사 27.8%, 임원지주 6%)로 나머지 38.1%는 알려지지 않았었다.

이에 대해 이날 일반 증인으로 출석한 신 회장은 정확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그 정도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재계에 따르면 신 회장은 종업원지주 등의 우호지분을 더해 일본 롯데홀딩스에 대해 50% 이상의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신 회장이 지난 8월 초 귀국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주총과 관련해 시기가 문제지 분쟁이 지속될 경우 마다하지 않겠다는 늬앙스를 풍긴 것 역시 이러한 자신감이 밑바탕에 깔렸다는 시각이다.

반면 신 전 부회장은 10%대 후반인 본인 지분과 광윤사(27.65%), 우호세력인 신영자 롯데복지장학재단 이사장(약 1%) 지분 등을 모두 합쳐도 지분이 50%에 못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롯데홀딩스의 의결권은 아버지가 대표인 자산관리 회사가 33%를 지닌다. 나는 2% 미만이지만 32% 넘는 종업원 지주회를 합하면 3분의 2”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신 전 부회장 측은 이날 “신 회장의 롯데 전체 소유지분이 신 전 부회장보다 낮은 상태에서 신 회장이 롯데홀딩스의 대표이사이자 회장 자리에 올랐고, 신 총괄회장을 해임시킨 것”이라며 “이는 신 회장의 경영권 쟁취 과정에서 적법성은 물론, 정당성에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77,000
    • -0.47%
    • 이더리움
    • 4,777,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0.28%
    • 리플
    • 662
    • -0.9%
    • 솔라나
    • 193,700
    • +0.36%
    • 에이다
    • 535
    • -2.37%
    • 이오스
    • 815
    • +0.37%
    • 트론
    • 173
    • -1.14%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1.26%
    • 체인링크
    • 19,570
    • -1.36%
    • 샌드박스
    • 469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