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멤버스 13일 출시… 금융권, 포인트 통합 바람 부나

입력 2015-10-12 15: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금화 파격 서비스… 인터넷전문은행도 가세할 듯

카드, 증권, 은행, 보험사 등 금융지주 내 모든 계열사의 거래 실적을 기반으로 쌓인 포인트를 통합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사용하지 못한 적립 포인트가 수천억 원 대에 이른다는 점에서, 고객들에게 적립 포인트를 효과적으로 환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지주는 13일 국내 최초로 금융 계열사 공동으로 고객 관리 마케팅 플랫폼인 ‘하나멤버스’를 출시한다.

하나멤버스는 계열사 은행, 카드, 증권, 캐피탈, 생명보험, 저축은행 등 계열사의 모든 거래 실적에 따라 고객들이 포인트 개념인 ‘하나머니’를 쌓고 계열사 간 금융 수수료 결제 및 멤버쉽을 맺은 가맹점에서도 현금처럼 사용하도록 했다.

일례로 고객이 하나멤버스를 통해 주식 위탁 매매 등을 할 경우 하나머니를 부여하고, 고객은 적립한 하나머니를 쓸 수 있다. 하나머니가 1만원 이상 쌓일 경우 자동현금입출금기(ATM)에서도 현금처럼 뽑아 쓰게 한다는 방침이다.

하나금융은 GS25편의점과 SSG머니, OK캐시백과 멤버쉽 제휴를 맺은 상황이며, 연말까지 10여개의 가맹점을 추가 확보 할 예정이다.

농협금융지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포인트 적립제도를 운영 중이다. 농협금융지주는 금융지주 계열사 뿐 아니라 경제지주에서도 사용가능한 ‘채움 포인트’를 운영하고 있다. NH농협카드 결제 때 포인트를 지급하며 이를 대출이자·신용카드 이용대금 납입 등에 쓸 수 있고, 전국 하나로마트에서도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하나멤버스에 대한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다른 금융지주에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파격적인 서비스인 만큼 인기를 끌면, 자사 고객들의 요청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내달 시행되는 계좌이동제와 맞물려 대량 고객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하고 있다.

현재 국민·신한은행은 지주내 계열 카드사와 연계해 포인트를 은행 내에서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주사가 없는 은행인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 협력사와 포인트 통합을 추진 중이다.

인터파크·SK텔레콤·IBK기업은행 등 15개사가 참여한 컨소시엄 아이뱅크(I-BANK)는 주주사 고객들에게 지급해온 각종 포인트와 쿠폰 등을 아이뱅크 예금을 통해 현금으로 돌려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KT와 GS리테일 등 20개 협력사와 각사의 포인트를 통합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사모펀드에 돈 쏟아붓는 은행들...5대 은행 36조 투자
  • FDA 재도전 불발된 HLB…무거운 분위기 감돈 주총장 [가보니]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트럼프 “3선 농담 아냐…할 방법 있어”
  • 이혼 거치며 더 끈끈해지거나 소송하거나…다양한 부부의 세계 [서초동 MSG]
  • 김수현, 오늘(31일) 기자회견 연다…시간은?
  • [위기의 시진핑] ‘딥시크의 덫’에 빠진 시진핑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 이미지 생성 반응 폭발…렌더링 딜레이 속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12: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40,000
    • -2.43%
    • 이더리움
    • 2,675,000
    • -2.73%
    • 비트코인 캐시
    • 442,400
    • -3.09%
    • 리플
    • 3,099
    • -5.6%
    • 솔라나
    • 185,100
    • -1.86%
    • 에이다
    • 967
    • -4.92%
    • 이오스
    • 860
    • -1.71%
    • 트론
    • 347
    • +0.87%
    • 스텔라루멘
    • 393
    • -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490
    • -3.35%
    • 체인링크
    • 19,710
    • -3.95%
    • 샌드박스
    • 399
    • -2.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