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訪美 경제성과, 訪中 때와 비교해보니…

입력 2015-10-19 11: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과는 실질협력 강화…美와는 미래 가치 키워

박근혜 대통령이 3박6일간의 방미 기간 적지 않은 경제 성과를 올렸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에 대한 미국의 긍정적 입장을 재확인하고, 우주 분야 등 첨단산업에서의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미국과는 이미 ‘경제 동반자’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성과물을 도출한다는 것 자체가 평가할 만한 일이다.

지난 9월 중국 방문 때 실질적 결실을 맺은 게 많았다면, 이번에 미국과는 미래 가치를 키워 나가는 기반을 다졌다고 볼 수 있다.

박 대통령 방미 기간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는 우리 정부의 TPP 참여에 대한 미국의 지지와 지원을 이끌어낸 점이다. 1.7~1.8%의 GDP 증대 효과가 예상되는 TPP 가입에 대해 미국 정부는 물론 재계도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며 지원을 약속했다. 이로써 우리 정부는 TPP 가입 부담을 덜게 됐다.

반면 방중 당시 양국 간 품질검사·검역 등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통한 자유무역협정(FTA) 효과 극대화 방안에 합의했다. 또 방송 등 콘텐츠 공동 제작 및 공동 배급 등을 위한 20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키로 하고 중국의 보건의료시장 진출, 동북아개발은행 추진 등 동북아 개발 논의를 주도한 게 특징이다.

양해각서(MOU)를 통한 협력은 미국과 우주, 기후변화, 사이버 안보 등 신산업 분야와 제조혁신, 무역투자 등 분야에서 총 24건을 체결했고, 앞서 중국과는 신산업, 문화, 무역투자 등 33건의 MOU를 맺었다.

박 대통령과 동행한 경제사절단 규모는 방미 때 166명으로, 방중 때(156명)보다 10명이 많았다.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는 기존과 달리 미국에서 워싱턴과 뉴욕에서 각각 한 차례씩 총 두 차례에 걸쳐 실시, 이를 통해 2877억원의 실질 성과를 창출했다. 중국에서는 3172억원의 실효를 거둔 바 있다.

박 대통령은 해외 방문이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특징도 있는데, 방미 결과 1.2%포인트, 방중 이후 5%포인트 지지율이 올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36,000
    • +0.65%
    • 이더리움
    • 2,318,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458,000
    • +3.36%
    • 리플
    • 2,993
    • +1.46%
    • 솔라나
    • 181,300
    • +4.62%
    • 에이다
    • 929
    • +1.42%
    • 이오스
    • 870
    • -6.05%
    • 트론
    • 363
    • +4.31%
    • 스텔라루멘
    • 346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40
    • +0.63%
    • 체인링크
    • 18,570
    • +1.2%
    • 샌드박스
    • 380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