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외신들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한국 언론들의 보도를 인용해 22일 긴급 타전했다.
미국, 일본 등은 김 전 대통령을 ‘30여 년에 걸친 군정을 종식한 첫 대통령’이라고 평가하며 그의 정치 역정과 재임기간(1993~1988년)의 공과를 상세하게 전했다. 반면 중국은 간략하게 서거 소식을 알렸다.
AP통신은 서울대학교의 공식 발표를 인용해 “김영삼 전 대통령이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으로 87세(한국 나이 88세)로 서거했다”고 보도하며 “김 전 대통령은 수년간 군사독재에 항거해 민주화 운동에 투신하고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받은 대통령”이라고 설명했다. 통신은 1994년 당시 미국의 빌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핵시설 타격을 구상할 때 김 전 대통령은 전쟁을 우려해 이를 반대했다고 언급했다.
AFP 통신은 고인을 “‘문민정부’를 출범시킨 대통령”이라며 “그의 당선으로 30년 이상 이어진 군정이 막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또 김 전 대통령을 ‘한국 민주화 운동을 이끈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1980년대 초 2년간 가택연금을 당했던 사실과 대통령 취임 후 ‘역사 바로 세우기’의 목적으로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처벌했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김 전 대통령이 20대 후반에 국회의원이 됐고, 정계 진출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자들’에 의해 박해를 당하면서도 민주적 개혁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음에도 정치적 경쟁자인 김대중 전 대통령과 후보단일화를 하지 못해 대선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 패했고 이에 비판을 받기도 했다고 전했다.
미국 유력 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ABC방송 등도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보도했다.
WSJ는 “김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금융실명제를 도입해 금융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임기 전반기 빠른 경제성장을 이끌어 1996년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게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1997~1998년 외환위기로 임기 말 고전을 겪으며 따가운 비판을 받아야 했다고 덧붙였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 등도 그를 “군부정권과 싸워 민주화의 실현에 공헌한 대통령이자 외환위기를 겪은 대통령”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와 신화통신 등도 서울대학교 발표를 인용해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전했으나 미국과 일본보다 비교적 간략하게 전했다.
한편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은 이날 긴급브리핑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오전 0시 22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으로 숨을 거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