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가난한 이들은 소비자의 권리는커녕 생존 자체가 문제다. 가난에 관한 성어는 참 많기도 하다. 이미 이야기한 천한백옥(天寒白屋) 가도벽립(家徒壁立)처럼 주거를 통해 가난을 말한 것으로 불폐풍우(不蔽風雨:비와 바람을 가리지 못한다) 상루하습(上漏下濕:위는 새고 밑은 습하다)을 추가할 수 있다.
못 먹고 못 입는 설움에 관한 말도 많다. 동월무피(冬月無被)는 겨울이 닥쳤는데 입을 옷이 없다는 뜻인데, 거친 베옷도 갖추지 못했다는 수갈불완(裋褐不完)보다는 좀 나은 걸까. 일구일갈(一裘一葛)은 갖옷(겨울옷) 한 벌, 베옷(여름옷) 한 벌이라는 뜻이다. 역의병식(易衣幷食)은 옷을 서로 바꿔 입고 먹는 건 한 그릇을 함께 먹는 생활이다. 의리폐천(衣履弊穿) 의결구천(衣結屨穿)은 옷은 해어져 꿰매고 신은 낡아 구멍이 났다는 뜻이다.
먹을 게 없는 사람들은 조강불염(槽糠不厭), 지게미와 쌀겨도 싫어하지 않는다. 그런 것마저 배불리 먹지 못해 조강불포(槽糠不飽)라 하지 않던가. 아침에 밥 먹고 저녁에 죽 먹는 조반석죽(朝飯夕粥)이라면 아침은 굶고 저녁은 거르는 조불식석불식(朝不食夕不食)보다 백 번 낫지. 증중생진(甑中生塵:밥 짓는 시루를 오래 쓰지 않아 먼지가 앉음) 증진부어(甑塵釜魚:시루엔 먼지가 쌓이고 솥에는 물고기가 생길 지경) 부중생어(釜中生魚)보다 천 번 낫고 말고.
가난을 뭉뚱그리는 말에는 빈한도골(貧寒到骨:빈한함이 뼈에 스민다) 빈한막심(貧寒莫甚) 지궁차궁(至窮且窮) 적빈여세(赤貧如洗)가 있다. 적빈여세는 물로 씻은 듯 가난하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