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美 통화정책 정상화 예상…亞 국가 레버리지 관리 중요"

입력 2015-12-11 08:22 수정 2015-12-11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BOK)-국제통화기금(IMF) 콘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BOK)-국제통화기금(IMF) 콘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국가의 레버리지 리스크를 우려했다.

이 총재는 11일 을지로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5년 BOK-IMF 컨퍼런스' 개회사에서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디레버리징 과정을 거친 반면 한국을 비롯한 많은 아시아 국가들은 레버리지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기획재정부의 후원으로 마련한 것으로 '아시아의 레버리지: 과거로부터의 교훈, 새로운 리스크 및 대응 과제'를 주제로 삼았다.

이 총재는 아시아 국가들의 레버리지 상승 원인으로 주요 선진국의 양적완화정책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확대를 꼽았다. 아시아 국가들도 금융상황을 완화시키면서 낮은 금융비용과 금융 여건이 용이해지면서 레버리지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레버리지가 기초경제여건에 비해 지나치게 상승할 경우 경제주체들의 채무 부담이 커져 소비, 투자 등 경제활동이 제약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심할 경우에는 차입자나 금융기관의 신용리스크를 높여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해치거나 국가신인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물경제도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특히 이 총재는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예상되고 있는 만큼 레버리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총재는 "세계적으로 금융완화의 정도가 점차 줄어들면서 국제금융여건이 지금까지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민간 경제주체와 정책당국은 레버리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더욱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총재는 차입자에 대한 심사기능을 강화하는 방안과 함께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는 것이 필요다하고 언급했다.

그는 "정책당국은 거시건전성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레버리지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해야 한다"면서 "비효율적인 기업이 존속하면서 레버리지만 상승시키는 일이 없도록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미 결제된 선수입니다"…본격 막 올린 스토브리그, '변수'는 없을까? [이슈크래커]
  • 먹을 사람 없고 귀찮아서…"김장, 안 하고 사 먹어요" [데이터클립]
  • 12년만 서울 그린벨트 해제…5만 가구 공급, 물량은 ‘충분’·공급 시간표는 ‘물음표’
  • 법인세 회피 꼼수…네이버 5000억 냈는데 구글은 155억
  • 단독 "AI에 진심" 정태영 부회장, '유니버스' 중동 세일즈 나섰다
  • 미 결전의 날…첫 여성 대통령인가 vs 132년만의 패자 부활인가
  • ‘자금 위해’ 글로벌로 눈 돌리는 K바이오, 해외서 투자 유치
  • 北, 미 대선 6시간 전 단거리탄도미사일 수발 발사…닷새 만에 도발 감행
  • 오늘의 상승종목

  • 11.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367,000
    • +1.39%
    • 이더리움
    • 3,385,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472,000
    • +0.73%
    • 리플
    • 708
    • -0.42%
    • 솔라나
    • 229,400
    • +1.46%
    • 에이다
    • 462
    • +1.99%
    • 이오스
    • 588
    • +1.55%
    • 트론
    • 225
    • -1.32%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200
    • +2.11%
    • 체인링크
    • 14,850
    • +2.56%
    • 샌드박스
    • 327
    • +1.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