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오전] 유가 회복 호재에 일제히 상승…일본 2.50% 급등·중국 0.42%↑

입력 2016-02-18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시아증시는 18일(현지시간) 오전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국제유가 회복에 전날 뉴욕증시가 급등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오전 11시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50% 급등한 1만6232.45에, 토픽스지수는 2.26% 오른 1311.36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0.42% 상승한 2879.51에 움직이고 있다.

싱가포르증시 ST지수는 1.50% 뛴 2653.16을,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1.23% 오른 8315.16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2.56% 급등한 1만9409.64를 나타내고 있다.

비잔 남다르 잔가네 이란 석유장관이 전날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의 산유량 동결 결정을 지지한다고 밝히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전날 5.6% 급등한 배럴당 30.66달러로 마감해 지난 5일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영국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브렌트유는 7.2% 폭등한 배럴당 34.50달러를 기록했다.

일본증시는 자국 경제지표 부진에도 에너지와 원자재 관련주를 중심으로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지난달 수출은 전년보다 12.9% 급감해 지난 2009년 10월 이후 최대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입도 전년 동월 대비 18% 줄었다.

석유탐사업체 인펙스 주가가 이날 4% 이상 급등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 주가도 2.7% 뛰었다.

중국증시는 사흘째 올라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긴 상승세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가를 종합한 항셍중국기업지수(홍콩H지수)는 3% 이상 급등해 2주 만에 최고치로 향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1.8%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인 1.9%를 밑도는 것이지만 전월의 1.6%에서는 오른 것이다.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PPI)는 5.3% 하락해 사상 최장 기간 하락세를 47개월로 연장했다. PPI 하락폭은 시장 전망인 5.4% 하락보다는 작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밸류업 가로막고 투자자 울리는 5%룰[5%룰의 딜레마①]
  • 이나은 '멤버 왕따 의혹'도 파묘…쏟아지는 '무결론'에 대중 한숨만 깊어진다 [이슈크래커]
  • '추석 연휴 끝' 명절 스트레스 해소법은 "남편과 시댁 험담" [데이터클립]
  • 비교적 낮은 금리로 전세 대출받자…'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십분청년백서]
  • “성공적 완수 확신…”대통령까지 세일즈 나선 원전에 관련주 다시 꿈틀
  • '수도권 철도 지하화' 경쟁 뜨겁다는데…부동산 시장은 '냉랭' [가보니]
  • 미국 긴축시계 멈췄다…韓증시 ‘수익률 꼴지’ 탈출 가능성은[美 빅컷과 경기불안]
  • 오늘의 상승종목

  • 09.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458,000
    • +2.9%
    • 이더리움
    • 3,270,000
    • +4.21%
    • 비트코인 캐시
    • 450,200
    • +6.81%
    • 리플
    • 779
    • +0.13%
    • 솔라나
    • 188,000
    • +6.58%
    • 에이다
    • 466
    • +3.1%
    • 이오스
    • 673
    • +3.38%
    • 트론
    • 201
    • +0%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450
    • +3.95%
    • 체인링크
    • 14,870
    • +3.7%
    • 샌드박스
    • 353
    • +4.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