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분야는 차량제조업계의 고유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IT 기술업계와 주도권 싸움을 하는 무한경쟁의 장이 되고 있다. 바야흐로 자동차는 움직이는 IT기기로 변신하고 있는 중이다. 소프트웨어 기술의 강자인 구글과 애플이 자동차를 만들면서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것이다. 구글은 이미 개발한 현 단계의 무인자동차에 대해 300만km 이상의 실제 도로 시험주행을 계속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아이콘인 애플도 축적된 배터리와 센서기술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기술을 이용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개발을 위해 수백 명의 막대한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 차로이탈방지장치 등 차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 제어가 가능한 부분적 자율주행차량의 복합기능단계는 머지않아 상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손발을 쓰지 않고 전방주시를 하지 않아도 되는 완전자율주행 자동차의 본격적인 시대는 2030년 이후 열릴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전 세계 시장에서 이러한 자율주행기술을 탑재한 차량의 출시 비중이 2025년 4.4%, 2030년에는 40.5%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앞으로 완전자율주행 자동차의 시대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첫째, 후발주자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량 기술개발을 위한 대대적인 혁신적 지원이 필요하다. 미래의 교통환경이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도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현재 선진국에 비해 대체로 5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는 관련 기술 및 상용화 과정을 따라잡고 선두 경쟁에 끼어들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둘째,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중장기 기술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 특히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국내의 세계적 IT기업들이 구글과 애플 못지않게 기술개발을 위한 창의적 기업환경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적극 장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완전자율주행 단계를 위해서는 차량기술 못지않게 도로환경의 스마트화 기술개발 사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도로 상태와 차량 흐름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주행조건과 도로운영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차량과 공유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초정보화 스마트 도로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른 사회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법적, 제도적 환경을 사전에 정비해야 한다. 자율주행차를 제작하고 실생활에서의 주행을 위하여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법적, 윤리적 문제와 책임 소재에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