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좌역 지반 붕괴사건이 터진 가운데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회사의 향후 중점 추진 사안으로 역세권 개발 등 수익사업에 최우선해야한다는 입장을 표명해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코레일에 따르면 최근 공사 직원 1000명을 대상으로 '향후 중점 사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역세권 개발 등 수익사업'이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코레일의 설문조사에서 '역세권 개발 등 수익사업'은 전체 응답자의 37.0%로 가장 많은 수의 직원들이 중점사업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열차 안전시스템 강화'가 27.4%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고객중심의 서비스 강화'가 22.4%, 그리고 '해외시장 진출 등 시장확대'가 13.2%로 각각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놓고 공기업인 코레일이 사업부문 확장에 지나친 욕심을 갖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최근 코레일은 용산 철도정비창 정비문제를 놓고 서울시의 기부채납을 거부하면서 용적률은 상향조정을 요구하는 등 '배짱 공세'를 편 바 있다. 코레일은 지난 5월 초에는 철도정비창 개발사업을 백지화한다는 정치공세까지 펴며 서울시를 압박해왔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주민들이 자기 재산으로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을 할 때도 기부채납과 용적률 제한을 받게 된다"며 "철도정비창 부지를 개발, 막대한 이익을 얻게 될 코레일이 이를 거부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코레일은 정치인 출신 이철 사장의 취임 이후 공격적인 수익사업에 나서고 있는 상황. 지난해에도 코레일은 철도역 부기역명을 공개입찰을 통해 매각하는 '수익사업'을 벌여 "국유철도를 이용, 수익사업을 벌이고 있다"는 빈축을 산 바 있다.
무엇보다 코레일은 철도청 시절 보유했던 '국유자산'을 그대로 보유한 채 공기업으로 바뀐 상태다. 이에 따라 용산 철도 정비창으로 대변되는 코레일 소유의 자산은 사실상 코레일의 사유 자산이 아니라 여전히 국유자산인데도 이를 코레일이 사유 자산처럼 인식, 수익사업 운운을 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이야기다.
또 코레일이 이번 사원 설문조사를 통해 "수익없는 기업은 살 수 없다라는 자각이 직원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는 자평을 한 것도 수익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전 '진지 구축'이라는 지적도 있다. 공기업인 코레일이 수익사업에 나서기 전 이데올로기 공세를 취한다는 게 이 같은 지적이다.
더욱이 가좌역 지반 침하 사건이 터진지 한달도 지나지 않은 상태서 열차와 고객 안전보다 수익사업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인다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은 사실상 '모럴헤저드'에 해당한다는 지적도 있다.
6월4일 발생한 경의선 가좌역 지반침하 사건은 다행히 단 한명의 인명피해도 나지 않았지만 자칫 지난 95년의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 준하는 대형 참사가 벌어질 뻔 했던 이 문제를 놓고 코레일은 철도시설공단과 책임 소재를 놓고 설전을 벌이는 등 책임회피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치인 출신인 이철 사장의 경우 임기 내에 코레일을 '반석'위에 올려놓겠다는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일"이라며 "하지만 직원들조차 열차 및 고객 안전 시스템 강화보다 수익사업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이른바 '신이 내린 직장'인 공기업 직원의 마음 가짐이 아니다"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