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간 청와대 회동에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소통 강화 위한 정무장관직 신설을 건의하면서 정치권에서는 벌써 적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특임장관이 행정부와 입법부를 연결하는 정무장관 역할을 했지만 박근혜 정부 들어서면서 이를 폐지함에 따라 양측을 잇는 가교가 끊어졌다는 지적이 적잖았다.
특히 박 대통령이 노동4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의 국회 통과를 강조하고 있지만 야당의 반대로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어 야당 설득을 위한 정무장관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이미 정 원내대표가 정무장관 부활을 제안하고,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자 이른 시일 내에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의 명을 받아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정무장관은 정부와 여당뿐 아니라 야당과도 긴밀하게 소통해야 하는 만큼 개인적 역량이 중요하다. 과거 정권에서는 대권 주자를 비롯해 정치적 중량감이 큰 인사들이 정무장관을 맡았던 사례가 있다.
이에 따라 여권에서는 원외 인사보다는 원내에서, 아울러 초ㆍ재선 출신보다는 경륜과 인품을 갖춘 3선 이상 4∼5선의 중진급에서 맡아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아는 친박(친박근혜)계이면서도 여야를 아우를 수 있는 원로급의 화합형 인사가 적임자라는 관측이 많다. 이에 따라 서청원(8선), 정갑윤(5선), 정우택ㆍ최경환(4선), 이학재 이정현(3선) 의원 등이 당 안팎에서 물망에 오르고 있다.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나 정무특보 경험이 있는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도 거론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낙선한 친박 중진인 황우여·이인제 의원 등의 이름도 나온다.
다만 서청원 의원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또는 후반기 국회의장에 거론되고, 정우택 최경환 이정현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있어 실제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 20대 총선에서 낙천·낙선한 인물이 내정될 경우 자칫 정무장관 자리가 총선 낙선·낙천자들의 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한 것이냐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정무장관이 신설되면 정치적 환경이 어려워진 여소야대 국면을 맞아 현 정부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노동개혁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주요 법안 통과와 관련해 중책을 맡게 된다. 16년 만의 여소야대 정국으로 핵심 국정과제의 완수를 위한 각종 입법에 험로가 예상되는 만큼 야당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주요 임무로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산업 구조조정, 세월호 특별법 연장, 가습기 살균제 피해 청문회 등 정치ㆍ경제ㆍ사회 현안을 풀어야 하는 과제도 담당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