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 삼성전자 양강 구도를 깨고 글로벌 강자로 부상하기 위해 특허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에 앞으로 스마트폰 시장에서 특허권 싸움이 더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2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최근 화웨이와 ZTE, 레노버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은 라이선스 계약 체결과 인수·합병(M&A),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특허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중 특허 확보에 가장 열을 올리는 업체는 세계 3위 업체로 발돋움한 화웨이다. 화웨이는 지난달 미국에서 11개의 자사의 모바일 관련 특허권을 침해했다며 삼성전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화웨이의 이번 소송은 중국 업체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는 업계 리더에 법정 싸움을 먼저 걸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화웨이의 이번 소송을 계기로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주도로 특허권 소송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화웨이는 5년 내 세계 최고의 스마트폰 업체로 부상한다는 야심이 있다. 이러한 야심은 특허권 신청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의 특허협력조약(PCT)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화웨이는 3898건의 국제 특허신청서를 제출해 미국 퀄컴(2442건)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특허 신청을 한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3위는 중국의 ZTE(2155건)였고 삼성전자는 1683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샤오미도 최근 서구권 기업으로부터 특허권 사들이기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애플 짝퉁’ 이미지 탈피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지난달 회사는 마이크로소프트(MS)로부터 1500개에 달하는 특허권을 사들였다. 그간 전문가들은 샤오미가 사업확장 속도에 비해 지적자산 확보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PC 제조사였던 레노버는 지난 2014년 스마트폰 사업 진출에 필요한 특허권 확보를 위해 모토로라 휴대폰 사업부를 인수했다.
중국 업체들이 이처럼 특허 확보에 목을 매는 이유는 경쟁이 치열해진 스마트폰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의 경우 당국이 현지법을 근거로 애플과 삼성의 시장진출 활동을 제약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업체가 확보한 특허는 시장점유율 확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중국 스타트업인 바이리(Baili)가 자사 제품과 외관이 비슷하다며 제기한 특허침해 소송으로 애플은 중국에서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 판매 중지 위기에 놓였다. 베이징 시당국으로부터 아이폰6 판매중지 행정명령을 받아낸 바이리는 관련 업계에서도 거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중소규모 업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