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이 높아졌지만 경제 성장 기여도는 오히려 하락하는 등 제조업의 산업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국내 산업 공동화, 어디까지 왔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대 5.9%에서 최근(2010~2015년 연평균)에는 28.5%까지 높아졌다.
반면 부가가치 증가율은 1970년대 18.0%까지 올랐지만 최근에는 5.2%까지 둔화했다. 제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 역시 1970년대에는 3.5%포인트였지만 최근에는 1.4%포인트로 약 2.1%포인트 줄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앞으로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제조업 부문의 성장기여도는 더 악화할 것으로 우려했다. 제조업의 활력을 가늠할 수 있는 총출하액과 생산액, 부가가치 증가세는 모두 둔화하고 있고 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 축소세도 이어지고 있는 것.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과 총출하액 증가율은 2012년 1%대 전후 수준으로 하락하고서 2013년부터는 마이너스 수준이다. 부가가치 증가세도 2011년 이후 크게 둔화하면서 2012년 0.1%, 2013년 -0.3%, 2014년 1.1%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 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2000년 38.4%에서 2014년 32.5%로 축소됐고, 같은 기간 생산비 비중은 61.6%에서 67.5%로 상승했다. 이 때문에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6.7%에서 2014년 4.2%로 약 2.5%포인트 떨어졌고, 같은 기간 순이익률도 5.7%에서 3.3%로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의 해외 의존도는 빠르게 올라가면서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조업의 해외 생산 비중은 2009년 13.9%에서 2014년 18.5%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는 한국보다 먼저 산업 공동화 현상을 겪은 일본의 2011년 해외 생산 비중(18.0%)을 웃도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신성장 동력 육성 등 중장기 산업발전 비전을 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