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실직ㆍ질병 맞닥뜨린 위기가정… 서울형 긴급복지로 도움 손길

입력 2017-02-27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질병에 맞닥뜨렸을 때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서울형 긴급복지제도 수혜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올해 1∼2월 긴급복지제도 수혜자가 1만286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5천259가구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났다고 27일 밝혔다.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제도는 보건복지부 지원제도와는 별개로 갑작스럽게 위기에 처한 서울시민을 돕는 제도다.

갑작스러운 위기에 처한 서울시민이 보장 받을 수 있는 최후의 안전장치로서 ‘긴급복지 지원 제도’가 서울시민의 복지 응급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서울시는 장기화된 경제 침체기로 인해 실직, 휴․폐업, 중한 질병, 부상, 사고 발생 등으로 갑작스러운 어려움에 닥친 시민이 없도록 지난 1월과 2월에만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1만286가구를 발굴해 긴급복지제도로 도왔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시는 보건복지부의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지원제도와는 별개로 2015년부터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제도’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2014년 발생한 송파 세모녀 가구처럼 차상위나 일반 서민 중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가정이 일시적인 어려움으로 빈곤층이 되지 않도록 위기가구가 발견되면 ‘先지원․後심사’원칙을 적용해 신속히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 서울형 긴급복지 예산은 45억7000만 원으로 이는 작년대비 16억7000만 원이 증가한 금액이다.

서울시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복지플래너, 우리동네주무관, 방문 간호사 등)를 활용, 동절기와 하절기 연 2회 위기가구 발굴 전수조사를 실시하며 이웃과 단절된 은둔형 가구, 어르신 독거세대 등 복지사각지대 위험군을 조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단전, 건보료체납, 기초수급 탈락‧중지자 등 취약계층과 관련한 빅데이터 자료를 적극 활용해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지원하고, 이번 겨울철부터는 서울시 단독으로 수도 요금이 장기 체납(1년 이상)된 명단을 확보, 가구의 어려움을 찾아가 살피고 있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노력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3만3000여 가구에 긴급복지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김철수 희망복지지원과장은 “갑작스런 위기로 생활이 어려워졌다면 주저하지 말고 긴급복지를 찾아야 한다”며 “주위에 어려운 이웃을 발견하면 외면하지 말고 가까운 동주민센터나 서울시 다산콜센터 20으로 연락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50,000
    • -1.65%
    • 이더리움
    • 4,608,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5.67%
    • 리플
    • 1,921
    • -9.69%
    • 솔라나
    • 343,200
    • -3.24%
    • 에이다
    • 1,396
    • -6.43%
    • 이오스
    • 1,152
    • +7.26%
    • 트론
    • 286
    • -4.35%
    • 스텔라루멘
    • 748
    • +22.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750
    • -6.2%
    • 체인링크
    • 23,130
    • -1.36%
    • 샌드박스
    • 854
    • +5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