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혼인율은 떨어지고 초혼연령은 올라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졸 여성의 합계출산율(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수)은 대졸이상 여성보다 0.3명 적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교육수준별 출생‧사망‧혼인‧이혼 분석에 따르면 2015년 남자 고졸의 혼인율(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은 대졸이상보다 0.4배 낮았다.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혼인율은 15.1건으로 집계됐다. 대졸이상(24.5건)이 가장 높고, 고졸(9.8건), 중졸이하(3.6건) 순으로 낮아졌다.
반면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대졸이상이 32.5세로 가장 낮았다. 고졸(32.8세), 중졸이하(36.5세) 순으로 연령이 높아졌다. 여자 고졸의 합계출산율은 1.02명으로 대졸이상보다 0.3명 적었다.
2015년 당시 20~49세 여자 전체의 합계출산율은 1.23명으로 집계됐다. 중졸이하(1.60명)가 가장 높고, 대졸이상(1.32명), 고졸(1.02명) 순으로 낮아졌다.
여자 고졸의 출산율(인구 1000명당 출생아수)은 대졸이상에 비해 20대 후반에는 1.1배 더 높지만, 30대부터는 0.6배 수준으로 낮아졌다.
남자 고졸의 이혼율(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은 대졸이상보다 1.5배 높았다.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이혼율은 5.4건으로 집계됐다. 고졸(6.4건)이 가장 높고, 중졸이하(5.7건), 대졸이상(4.4건)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고졸의 이혼율은 대졸이상에 비해 30대에는 2.2배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낮아지나 50대에도 1.5배 수준으로 높았다.
60세 이상에서 중졸이하의 사망률(인구 1000명당 사망자수)은 대졸이상보다 2배 높았다.
2015년 당시 60세 이상의 사망률은 24.0명으로 조사됐다. 중졸이하(29.2명)가 가장 높고, 대졸이상(14.8명), 고졸(14.6명) 순으로 낮아졌다.남자 중졸이하의 사망률은 대졸이상에 비해 30대에는 9.6배, 60세 이상은 2.1배 높았다.
통계청은 “교육수준과 출생‧사망‧혼인‧이혼간의 관계를 단순인과관계로 해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변인 간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직업‧소득 등 사회‧경제적 요인 및 개인적 특성과 복합적으로 연관된 개연적인 관계”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