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약 24조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92%가 기업여신에 몰려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 구조조정 여파로 은행권 부실채권에서 차지하는 기업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수년째 90%대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1분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부실채권 규모는 23조7000억 원으로, 작년 말(24조6000억 원) 보다 9000억 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31조3000억 원) 대비로는 7조6000억 원이나 줄었다.
부실채권비율도 1.38%로 지난해 말(1.42%) 대비 0.04%포인트 낮아졌으며, 전년 동기(1.87%) 대비로도 0.49%포인트 개선됐다.
하지만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21조7000억 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91.6%를 차지해 대부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가계여신(1조8000억 원), 신용카드채권(2000억 원) 순(順)이다.
전체 부실채권 가운데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2014년 말 88.84%(부실채권 합계 24조2000억 원·기업여신 부실채권 21조5000억 원) △2015년 말 93%(30조 원·27조9000억 원) △2016년 말 92.68%(24조6000억 원·22조8000억 원) △2017년 3월말 91.56%(23조7000억 원·21조7000억 원)를 보이고 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조선·해운업의 침체로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한 2015년 90%대로 급등한 이후 해마다 대체로 완만히 낮아지는 추세나, 3년째 90%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조선업 등 일부 업종의 부실채권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조선업은 11.56%, 해운업의 경우 4.68%로 상당히 높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조선업 등 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업종을 중심으로 은행의 부실채권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자산건전성 분류 및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1분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인 1.38%는 2012년 말(1.33%) 이후 최저치라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실제로 주요국의 부실채권비율과 비교해도 유사한 분포를 보여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12월말 미국은 1.39%, 작년 9월말 일본은 1.40%다.
금감원은 “가계여신의 부실채권비율(0.28%)이 개선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기업여신(1.99%)도 올해 1분기 중 전년 말에 비해 0.07%포인트 개선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