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전력공급 경제발전 기여… 이제 해체기술 확보해야”

입력 2017-06-15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상덕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수석연구위원

고리 1호기 퇴역 결정에 대해 박상덕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 수석연구위원은 13일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고리 1호기는 기술적·경제적인 문제가 아닌 정치적인 문제로 폐로된 것으로 그 의미를 되짚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고리 1호기가 건설됨으로써 경제 발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전력 수요에 맞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며 경제 발전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1972년 당시 1인당 국민소득 292달러, 국내 총발전설비용량 2508MW일 때, 국내 첫 원전을 587MW급 대형 원전을 짓는다는 건 무모한 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고리 1호기 건설 당시 국내에는 후강판 용접 기술이 없어 영국 기술자를 통해 용접학교를 운영해 많은 용접사를 배출했는데, 이후 이 용접사들이 국내 조선사업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박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박 연구위원은 “고리 1호기 건설과 시운전, 운영 등 각 분야에서 양성된 인력들이 30년간 지속적으로 20기의 원전을 건설하고 운영하며 기술력을 축적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수출하는 세계 원자력 강국이 됐다”며 “향후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 이후 수행되는 해체와 폐기물 관리를 통해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의 전 주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국의 원전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지만 해체 기술은 미흡하다는 것은 향후 보완해야 할 과제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한 원전은 160기. 이 중 폐로를 완료한 건 미국(15기), 독일(3기), 일본(1기) 등 19기다.

폐로를 서두를수록 외국 기업들만 좋은 일을 시켜 준다는 지적에 대해 박 연구위원은 “방사화된 물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현재 기술 확보 수준에서 준비하면 충분히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고 했다.

고리 원전 1호기 폐로 이후 ‘탈(脫)핵’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박 연구위원은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을 폐쇄하는 것과 신규 원전 중단 등 양쪽을 다 막아버리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며 새로운 원전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연구위원은 “파리기후협약에 의해 탄소를 감축해야 하지만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당분간은 대안이 만들어지기까지 원자력이 역할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향후 축적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많이 도출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다우지수 사상 최고치…뉴욕증시, 월가 출신 재무장관 지명에 환호
  • [날씨] 제주 시간당 30㎜ 겨울비…일부 지역은 강풍 동반한 눈 소식
  • '배짱똘끼' 강민구 마무리…'최강야구' 연천 미라클 직관전 결과는?
  • 둔촌주공 숨통 트였다…시중은행 금리 줄인하
  • 韓 경제 최대 리스크 ‘가계부채’…범인은 자영업 대출
  • 정우성, '혼외자 스캔들' 부담?…"청룡영화상 참석 재논의"
  • "여보! 부모님 폰에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해드려야겠어요" [경제한줌]
  • 갖고 싶은 생애 첫차 물어보니…"1000만 원대 SUV 원해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11.26 13: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1,133,000
    • -2.81%
    • 이더리움
    • 4,771,000
    • +2.58%
    • 비트코인 캐시
    • 694,000
    • -1.49%
    • 리플
    • 2,012
    • +0.85%
    • 솔라나
    • 330,100
    • -5.06%
    • 에이다
    • 1,352
    • -6.57%
    • 이오스
    • 1,145
    • -0.78%
    • 트론
    • 276
    • -4.5%
    • 스텔라루멘
    • 698
    • -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250
    • -0.53%
    • 체인링크
    • 24,410
    • -2.2%
    • 샌드박스
    • 909
    • -17.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