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연구위원은 “고리 1호기가 건설됨으로써 경제 발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전력 수요에 맞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며 경제 발전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1972년 당시 1인당 국민소득 292달러, 국내 총발전설비용량 2508MW일 때, 국내 첫 원전을 587MW급 대형 원전을 짓는다는 건 무모한 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고리 1호기 건설 당시 국내에는 후강판 용접 기술이 없어 영국 기술자를 통해 용접학교를 운영해 많은 용접사를 배출했는데, 이후 이 용접사들이 국내 조선사업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박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박 연구위원은 “고리 1호기 건설과 시운전, 운영 등 각 분야에서 양성된 인력들이 30년간 지속적으로 20기의 원전을 건설하고 운영하며 기술력을 축적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수출하는 세계 원자력 강국이 됐다”며 “향후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 이후 수행되는 해체와 폐기물 관리를 통해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의 전 주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국의 원전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지만 해체 기술은 미흡하다는 것은 향후 보완해야 할 과제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한 원전은 160기. 이 중 폐로를 완료한 건 미국(15기), 독일(3기), 일본(1기) 등 19기다.
폐로를 서두를수록 외국 기업들만 좋은 일을 시켜 준다는 지적에 대해 박 연구위원은 “방사화된 물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현재 기술 확보 수준에서 준비하면 충분히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고 했다.
고리 원전 1호기 폐로 이후 ‘탈(脫)핵’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박 연구위원은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을 폐쇄하는 것과 신규 원전 중단 등 양쪽을 다 막아버리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며 새로운 원전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연구위원은 “파리기후협약에 의해 탄소를 감축해야 하지만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당분간은 대안이 만들어지기까지 원자력이 역할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향후 축적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많이 도출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