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상사와 맞서는 사람들이 꽤 있다. 하지만 자신과 잘 맞지 않은 상사, 너무 싫은 상사라 할지라도 한 배를 탄 이상 쉽게 거부감을 드러내거나 맞서서는 안 된다. 반대 의견을 말할 때는 “아닌데요”, “그건 아니죠”보다는 “ 그게 아닐까요? 확인해 보겠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등의 완곡한 표현이 관계를 훼손하지 않는 방법이다.
사실, 능력보다 인성을 중요시하는 상사들도 많다. 만만해 보인다고, 욱한다고 자칫 밥상머리를 넘어서 버리면, 나락(那落)에 떨어지는 건 시간문제이다. 직장 내 소문은 LTE급이다. 특히 권력자의 말은 더욱 파급력이 있다. 상사와 자주 맞서며 트러블을 만드는 사람은 어느 조직에서도 원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면서 유연하게 직장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충성심’ 함양이 필요하다. 충성심은 복종의 개념이 아니다. 적당히 복용하면 득(得)이 되고, 결핍되거나 과하면 독(毒)이 되는 비타민과 같다. 직장생활에서 불평불만(不平不滿)이 없을 리 만무하지만, 먹물이 가득 찬 마음으로는 어떤 일에서도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이라는 책에서는 자신이 충분히 유능함에도 능력에 맞는 보직을 받지 못하고 주변부로만 돌거나 승진이 늦다고 생각되면, 자신이 임원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치는지 확인해 보라고 말한다. 충성심을 점검해 보라는 말이다.
반드시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만이 아니다. 모든 것을 자신의 발전과 직결하여 생각한다면, 그래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면, 경력 관리를 위해 나쁠 것도 없다. 반대로 말하면 나의 성공을 위해 조직을 충분히 이용하라는 것이다.
인재 발탁과 승진에는 능력뿐만 아니라 은근슬쩍 겉으로 배어나는 충성심도 작용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조직은 충성심이 높은 직원을 신뢰할 수밖에 없다.
충성심을 ‘업무 능력을 키우고, 직장에서 버티면서 발전해 나가기 위해 취사선택(取捨選擇) 가능한 기회’라고 생각해 보자. 충성심의 시작은 바로 직속 상사에 대한 존중에서부터이다. (존중하고 싶은 상사가 많지 않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래도 늘 되새겨보자. 나는 지금 내 업무 성과와 경력 관리를 위해 상사를, 회사를 영악(靈惡)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