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의원 발의 법률안, 규제 영향 평가해야”

입력 2017-09-06 10: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OECD “사회적 편익이 큰 규제는 폐지·완화 막아야”

국회의원이 발의하는 법률안에도 규제영향평가를 도입해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가결 법률안의 대부분이 정부 제안 법률안인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의원 발의가 대다수라는 이유에서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공동으로 6일 세종시 KDI 대회의실에서 ‘규제 거버넌스의 동향과 개선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주요 OECD 회원국의 규제정책 및 거버넌스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KDI와 OECD는 한국 규제개혁정책의 주요 과제가 규제관리시스템의 제도와 실제 운영상의 격차 해소라고 보고, 2년간 공동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이종연 KDI 규제연구센터 분석평가실장은 “사전 영향평가가 의무화되지 않은 의원발의 법률안에도 규제영향평가를 도입하는 등 규제품질관리를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19대 국회 기준 발의법안의 94%, 가결법안의 86%를 차지하는 의원발의 법률안의 경우 규제영향평가가 이뤄지지 않아 국가 전체 규제개혁 노력에 큰 공백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5월 발표된 한국 규제개혁시스템에 대한 OECD 평가에서도 해당 문제의 개선 필요성이 제시된 바 있다.

이 실장은 “의원발의 법률안에 규제영향평가를 의무화한 해외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며 “해외의 경우 규제영향분석이 실시되는 정부제안 법률안이 가결 법률안의 대부분을 차지해 우리나라와 상황이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필리포 카바시니 OECD 정책담당관은 “한국에서 규제비용관리제가 긍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지만, 운영과정에서 사회적 편익이 큰 규제가 완화·폐지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규제의 신설·강화에 따른 부담 증가를 상쇄하기 위해 사회적 편익이 큰 규제가 폐지·완화되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일선 부처가 기존 규제의 영향을 분석할 때 다양한 사회적 편익을 적정하게 반영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규제비용관리제 운영 중 사회적 편익이 큰 규제가 완화·폐지되지 않도록 관리 절차를 추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735,000
    • +0.48%
    • 이더리움
    • 4,888,000
    • +2.17%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2.43%
    • 리플
    • 671
    • +0%
    • 솔라나
    • 210,100
    • +7.08%
    • 에이다
    • 553
    • -0.36%
    • 이오스
    • 826
    • +1.47%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450
    • +0.7%
    • 체인링크
    • 20,000
    • +1.11%
    • 샌드박스
    • 484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