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도부가 목표로 하는 위안화 국제화가 기세를 잃어가는 가운데 금융개혁이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당국이 위안화 하락과 자본유출을 경계해 자본규제를 강화하면서 국제화가 크게 후퇴하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환율 방어를 하는 가운데 무역 결제에서 위안화 비중은 2년 전보다 절반으로 축소했고 해외 투자자들의 위안화 보유 수요도 줄어들었다.
외국과의 교역과 투자에서 위안화 이용을 촉진하고 해외에서 그 쓰임새를 확대하는 것이 바로 위안화 국제화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9년 무역 결제에서 위안화 이용을 허용했으며 2011년은 직접투자, 2014년은 주식투자 등으로 이용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했다.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정책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것이 위안화 국제화의 목적이었다. 2015년은 중국 무역액의 약 30% 가까이가 위안화로 결제될 정도였다.
올해는 위안화가 힘을 잃고 있다. 올해 1~9월 중국 전체 무역액에서 위안화 비중은 14%로 떨어졌다.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무역을 제외하면 그 비율은 더 내려간다.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 따르면 지난 2015년 8월 글로벌 금융결제에서 위안화 비중은 2.79%로 4위였다. 그러나 올해 10월 위안화 비중은 1.46%에 그치면서 순위가 7위로 추락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중국 당국이 급격한 위안화 하락과 자본유출을 막고자 규제를 본격화하면서 위안화에 대한 인기가 떨어졌다. 당국은 지난해 환전과 해외송금, 해외 인수ㆍ합병(M&A)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릴 만한 움직임에 규제의 칼을 댔다. 이에 해외 투자자의 위안화 보유 수요가 줄면서 홍콩의 위안화 예금잔액은 2014년 말의 1조 위안 이상에서 올해 9월 말 5300억 위안으로 급감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실시한 대규모 금융완화가 여전히 위안화 국제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당시 중국은 4조 위안(약 660조 원)의 돈을 풀어 위기에서 벗어났으며 이후에도 금융완화로 경기를 지원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014년 11월부터 1년간 기준금리를 총 6차례 인하했다. 이런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위안화 가치 상승을 억제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가오하이훙 연구원은 “위안화 가치가 오를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던 것이 국제화의 중요한 추진력이었다”며 “이제 중국은 그 힘을 잃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금융개혁파 인사들이 위안화 국제화를 주도해왔던 상황이어서 개혁 불확실성도 고조되고 있다. 위안화 국제화의 리더였던 저우샤오촨 인민은행 총재는 내년 봄 퇴임할 예정이다. 후임으로는 중국은행감독관리위원회(은감회)의 궈슈칭 주석 등 개혁파 인사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은 사회 혼란을 수반할 수 있는 시장화 개혁에 미온적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