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인해 10년 후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218만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노동부는 1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예측이 담긴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시사점'을 보고했다.
전망에 따르면 향후 10년간(2016~2026년) 15세 이상 생산가능 인구는 207만 명 증가하지만,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18만 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고령화로 60세 이상 인구가 533만 명 늘어 전체 인구 증가를 주도하고, 전문대졸 이상 고학력이 322만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고교졸업생이 61만 명에서 45만 명으로 줄어 현 대학정원 52만 명보다 7만명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은퇴시기 연장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로 경제활동인구는 201만 명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15~64세의 경제활동인구는 인구감소로 증가폭은 30만 명, 참가율은 5.3%포인트 상승할 전망이다. 청년(15∼29세)과 중년(30∼54세)의 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하나, 대학진학률이 둔화되고, 고용환경 개선 등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로 참가율은 큰 폭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크게 증가(여 2.2%포인트, 남 0.8%포인트) 하면서 남성과의 격차는 완화될 전망이다.
직업별로 보면 기술발전과 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산업과 직업 구조가 크게 변화할 전망이다. 숙련도가 높은 전문가가 가장 큰 폭(73만 명)으로 증가하고, 기능원(6만 명), 장치 기계 조립 종사자(20만 명) 등은 기술발전과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측된다. 농립어업 숙련직 종사자는 16만 명 감소할 전망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영사무원이 가장 크게 증가하고, 사회복지 수요확대로 사회복지, 의료·복지 서비스, 보건의료 등이 늘어난다. 반면, 작물재배, 농업어업, 축산 및 사육관련 등은 크게 줄어들고 학령인구 감소로 학교교사도 감소할 전망이다.